거리두기 소홀한 틈에…예천서 7일간 30명 확진

입력 2020-04-16 17:56:24 수정 2020-04-16 19:08:24

감염 모르고 선거운동원 활동도

김학동 예천군수가 지난 14일 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김학동 예천군수가 지난 14일 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에도 경북 예천군에서 1주일 사이 30명의 확진자가 발생,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예천에선 지난달 7일 이후 한 달 넘게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이달 9일 신규 확진자(48·여)가 발생한 이후 16일 3명 등 일주일 사이 30명이 잇따라 확진되면서 순식간에 지역 전체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날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예천의 지역감염에 대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소홀히 했을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또 "사회적 거리 두기와 자가격리 준수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방역당국 조사 결과 예천 확진자 대부분은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식당과 PC방, 술집, 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총선 후보자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한 사례도 파악됐다. 보건 전문가들 역시 일상생활 속 방심이 지역감염 확산을 키운 주범으로 보고 있다.

지역 안팎에서는 방역 컨트롤 타워인 예천군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군민과의 소통 부재, 미온적 태도가 지역감염 사태를 키웠다는 것이다.

예천군은 30여 일 만에 확진자가 나온 지난 9일부터 사흘 동안 확진자를 비롯한 감염 의심자 정보 등에 대한 소통을 거의 하지 않았다. 13일과 14일에는 공식 브리핑을 통해 확진자 관련 정보와 특별대책 등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언론사에만 배포하는 서면 자료로 대체돼 주민과의 소통은 다시 단절된 상태다.

코로나19 대책이 대부분 권고에 그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제성을 띤 보다 강력한 규제와 넓은 범위의 역학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예천읍 한 주민은 "지자체의 소통 부재 탓에 온갖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있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공개를 통해 주민들의 불안을 덜어주고 지역감염 확산을 예방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예천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17일 코로나19 관련 2차 특별대책을 내놓겠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