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월말부터…여행업이 82.2% 몰려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업체 수 메르스 사태의 16.7배
대구 중구에서 여행사를 운영하는 A(60) 씨는 지난달 말 금융권에 무담보 특별융자를 신청해놓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그는 "특별융자 지원을 받지 못하면 도산해야 할 수도 있다. 하루빨리 돈을 받아야 밀린 월세와 급여를 줄 수 있다"고 초조해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사 위기에 처한 관광업계를 지원하려 마련된 정부의 무담보 특별융자에 여행사의 신청이 몰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천억원 규모의 무담보 특별융자에 지난 2월 말부터 이달 10일까지 829억원(1천421건)의 신청이 접수됐다고 14일 밝혔다. 이중 379억원(702건)이 집행돼 집행률(금액 기준)은 45.7%를 기록했다.
관광기금으로 조성된 무담보 특별융자는 공적 기관의 신용보증으로 중소 여행사 등 담보력이 약한 관광업체를 지원하는 제도다. 특별융자 전체 집행 건 중 건수 기준 82.2%, 금액 기준 77.4%가 여행업계에 집중됐다.
관광기금 융자금 상환 유예는 전체 지원액 2천억원 중 1천539억원(682건)이 집행됐고, 대부분 호텔업계(1천343억원)가 신청해 유예를 받았다.
한편 코로나19로 여행업과 관광숙박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된 뒤 현재까지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한 업체는 4천919곳으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의 294곳보다 16.7배 폭증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특별융자 집행에 속도를 내려 최근 인력을 보충했다"며 "특별융자는 5월 중순, 관광기금 상환 유예는 4월 말쯤 모두 소진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