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문의 한시산책] 밥을 먹고 나서(食後) - 오숙

입력 2020-04-17 14:30:00

밥 먹고 천천히 걸어 채마밭을 향하는데 / 食後徐行向菜田(식후서행향채전)

아내는 뒤따르고 아이는 앞서 가네 / 病妻隨後稚兒先(병처수후치아선)

인생의 이 즐거움에 더 바랄 게 없는 것을 / 人生此樂餘無願(인생차락여무원)

그 누가 아등바등하며 헛 세월을 보낼 건가 / 誰自勞勞送百年(수자로로송백년)

조선후기의 시인 천파(天坡) 오숙(吳䎘·1592-1634)의 작품이다. 보다시피 작품 속의 가족들은 밥을 먹은 뒤에 일렬 종대로 천천히 걸어 채마밭에 간다. 이 대목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천천히' 가 아닐까 싶다. 밭에 산돼지가 나타나는 돌발적인 사태가 벌어진 것도, 당장 다급하게 해결해야 할 발등의 불이 있는 것도 아니므로 그들은 유유자적하게 채마밭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채마밭에 가서 무얼하려고? 작품 속에는 그에 대한 답변이 전혀 없다. 하지만 그들이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들판에 나가는 농부들이 아님은 분명하다. 왜 그러냐고? 가족들과 함께 천천히 채마밭에 가는 것이야말로 인생의 가장 큰 즐거움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 말고는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는 말에도 그 점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길지도 않는 인생을 아등바등 발버둥을 치면서 허둥지둥 살 필요가 없다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러니까 그들은 지금 주말 농장에 놀러가는 기분으로 채마밭을 향하여 아주 천천히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 기분이 어떤 기분일까? 아마도 요즈음 내가 느끼는 기분과 크게 다를 바가 없지 싶다.

지난 2월 말에 퇴임을 하고 강정보가 있는 강정마을에다 까치둥지만한 연구실을 꾸렸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에 주말 농장이 있어서 손바닥만한 텃밭을 만들고, 13가지의 씨앗들을 뿌렸다. 한 열흘 동안 부지런히 물을 주었더니, 세상에, 콩심은 데 콩이, 팥심은 데 팥이 총궐기하여 우지끈 돋아나기 시작했다. 콩을 심어도 좀처럼 콩이 나지 않는 세상에서 콩을 심었다고 아니 글쎄 진짜로 콩이 돋아나다니 이게 바로 기적이다 싶다. 요즈음 나는 "동네 사람들요, 이것 좀 보소. 여기 콩을 심었더니, 세상에, 진짜로 콩이 났심더" 하고 외치고 싶은 심정으로 이 놀라운 기적의 현장으로 휘파람을 불며 천천히 걸어간다. 그것도 하루에 두 번씩이나.

"좀처럼 서두르지 않는 섬진강 강가에서/ 그리움의 세포마다 마음귀를 열어놓고// 듣는다// 천천히 천천히 걸어라 마음아" 우은숙 시인의 시조 '마음아 천천히 걸어라'의 일부다. 그래 맞다. 이제부터는 비슬산 꼭대기의 흰구름을 우두커니 쳐다보면서 천천히 걷자꾸나,우왕좌왕에다 허둥지둥했던 나의 마음아.

이종문 시조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명예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