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4월 9일부터 순차적 온라인 개학…등교는 연기”

입력 2020-03-31 09:19:55 수정 2020-03-31 09:30:04

정세균 “시험과 입시 일정도 조정”…수능 연기 시사

정세균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개학을 일단 4월 9일로 다시 한번 연기하되 등교가 아닌 온라인 형태의 개학을 대안으로 내놨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개학 일정과 관련, "혼란을 줄이기 위해 준비 상황과 아이들의 수용도를 고려해 다음 주 중반인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학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연간 수업 일수와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아이들의 학습권을 포기하고 무작정 개학을 연기하기는 쉽지 않아 대안으로 온라인 형태의 개학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며 "최소한 모든 아이들에게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보장돼야 하고, 적응기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해선 "시험과 입시 일정도 그에 맞춰 조정될 것"이라고 언급, 연기 가능성을 시사했다.

아이들의 학습권 보장과 입시 등에 미칠 학사 일정 등을 고려해 온라인 수업 준비가 갖춰지는 대로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학하도록 하는 절충안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애초 예정대로 4월 6일부터 등교개학을 강행해 학교 내 집단 감염이 발생하게 되면 곧바로 지역사회의 주요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정 총리는 "지난 주부터 지역사회와 교육계, 학부모들께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다양한 방법으로 의견을 들었다"며 "아직 아이들을 등교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많은 분의 의견이고 방역 전문가들의 평가 또한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감염 위험을 대폭 낮추기 위해 방역 역량을 총동원해 노력했지만 아이들이 안심하고 등교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오늘 회의에서 교육부가 마련한 방안을 기초로 논의해 결론을 내리고 상세히 설명 드리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