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 학교급식 관련 업체와 상생 나서

입력 2020-03-09 16:33:43

식재료 납품 업체와 계약 연장과 물량 조정
급식 위탁 업체에 사용료 감면 또는 반환 조치

대구 한 초등학교의 학교급식 모습. 대구시교육청은 개학이 3주 연기됨에 따라 연간 사용료 감면 등 학교급식 관련 업체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매일신문 DB
대구 한 초등학교의 학교급식 모습. 대구시교육청은 개학이 3주 연기됨에 따라 연간 사용료 감면 등 학교급식 관련 업체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매일신문 DB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학교 개학이 미뤄지면서 학교급식 관련 업체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이미 확보했거나 계약한 식재료, 연간 시설 사용료 등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 대구시교육청이 이들 업체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다수 학교는 애초 급식계획에 따라 지난 2월 말 식재료 납품업체 260여곳과 3월 납품 계약을 마친 상태. 하지만 계약 이후 개학이 3주나 연기돼 급식일도 변경됐다. 업체들로선 확보한 식재료를 제때 소진하지 못해 손실이 발생할 형편이다.

시교육청은 9일 이들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해당 계약 기간을 연장하거나 3월 말에 맞춰 휴업 기간 동안 물량을 조정하는 방법 등으로 계약을 변경하도록 각 학교에 안내했다.

학교급식 운영위탁 학교는 학교의 급식 시설을 사용해 업체에서 석식을 제공하는 학교. 시교육청은 이들 학교에 해당 업체가 납부해야 하는 연간 사용료를 감면 또는 반환해줄 수 있게 했다.

학교급식을 위탁 운영하는 학교는 약 17개교. 대구의 석식 업체는 약 10곳이다. 학교급식 위탁 운영 업체가 납부하는 연간 사용료는 평균 약 600만원. 3월 한 달 휴업한다고 가정하면 감면액은 평균 50여만원 정도일 거라는 게 시교육청의 추산이다.

이은숙 시교육청 교육복지과 학교급식지원담당은 "급식일이 줄어 이같은 업체들의 부담이 커져 손실을 조금이라도 줄여주려고 한 것"이라며 "이번 조치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지역사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