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산 동백기름으로 표면처리
밀도 높은 박달나무 등을 사용해 칼자국 안 나고 국물이 잘 스며들지 않아
권 작가 “요리의 품격을 올리는 데 안동도마가 큰 역할을 할 것”
"우리에게 흔하고도 꼭 필요한 것이 도마입니다. 식재료의 신선도만큼 도마의 위생도 중요하죠."
4일 경북 안동시 뱀바위길 105-112 권오준 미술관. 초행길이면 이 지역 사람이라도 내비게이션에 의존해야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산기슭에 자리해 있다. 미술관은 1층 작업실과 2층 전시관으로 나눠져 있었다.
이날 작업실에는 권오준 작가가 한창 목공작업을 하고 있었다. 권 작가는 머리에 두건을 두르고 소탈한 미소를 지으며 기자를 반겼다.
그의 작품 소재는 조금 남달랐다. 어느 집 부엌에 하나쯤 있는 도마였다.

그가 도마로 사용하는 재료는 '박달나무'다. 박달나무는 나무 중에서도 강도가 강하고 무게도 무거워 홍두깨나 곤봉, 쌍절봉 등으로 이용됐다.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마차의 부속품이나 포졸이 들었던 육모방망이 등으로 쓰였다. 보통 나무는 가구재나 공사자재로 대부분 쓰이는데 이 박달나무는 무겁고 단단해 쓰임에 불편함이 많아 잘 쓰이지 않는다.
권 작가는 박달나무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도록 고민하던 중 도마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20여 년 전 조각 작품을 만들다 박달나무 자투리로 지인에게 도마를 만들어 선물했는데 반응이 너무 좋았다"며 "그 이후로 너무 많은 부탁을 받아 아예 도마로 작품을 만들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박달나무 도마는 다른 도마와 차별성이 있다. 박달나무의 조밀한 조직 때문에 칼자국이 잘 나지 않고 김치나 음식물의 국물이 도마에 배지 않는다. 무게 때문에 작은 크기의 도마라도 돌아가거나 움직이지 않아 안정적으로 재료를 썰 수 있다. 또 보통 나무도마는 포도씨유 등으로 표면처리를 하는데 그의 도마는 제주도산 동백기름을 이용해 살균에 한 번 더 신경 쓰고 있다.
"사용한 일반 나무도마를 불에 태워보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나무 사이에서 음식찌꺼기가 나오면서 검은 연기가 나기 마련이다. 흔히 쓰는 플라스틱 도마에 칼을 긁어보면 플라스틱 가루가 묻어나는 걸 볼 수 있는데 그게 우리 입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끔찍할 것입니다."

권 작가는 도마를 만드는데 자신의 미적 감각을 최대한 살리고 있다. 그의 도마는 직사형의 평범한 모양부터 사슴뿔, 물고기 등 다양한 모양을 연출하고 있다. 주방에 세워둘 때 도마 역시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신경을 쓴 부분이다.

그는 안동 출신이기에 도마 이름도 '안동도마'로 정했다. 안동도마에는 제품 인장이 찍혀있는데 그의 소탈한 미소를 본 따 만든 것 같았다.
권오준 작가는 "요리의 품격을 올리는데 제가 만든 안동도마가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자식에게 물려줄 정도의 명품 도마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