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격전지가 된 영남권 소주 시장

입력 2019-12-24 15:25:28 수정 2019-12-24 19:04:42

금복주
금복주 '소주왕 금복주'와 하이트진로 '진로이즈백'의 크리스마스 에디션. 금복주, 하이트진로
김윤기 경제부 기자
김윤기 경제부 기자

올해는 유난히 소주 신제품 출시 바람이 거셌다. 대구경북 소주업체인 금복주는 '뉴 맛있는 참' '맛있는 참 오리지널'을 지난 2, 7월에 연이어 출시했다.

옛것을 새롭게 해석하는 뉴트로 열풍도 더해졌다. 4월 들어 하이트진로가 1970년대풍의 투명하고 곡선이 강조된 병에 담긴 '진로이즈백'을 내놓으면서 돌풍을 일으키자 경남의 무학도 비슷한 콘셉트의 '청춘 소주 무학'을 내놓았다. 부산 대선주조도 지난 6월 '고급 소주'에 이어 10월에는 1965년 라벨 디자인을 적용한 '대선'을 출시했다. 금복주도 이에 질세라 이달 들어 뉴트로 제품 '소주왕 금복주'를 내놓았다. 하지만 연이은 신제품 출시가 소주 시장의 호황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8년 소주 출고량은 91만8천㎘로 전년(94만6천㎘)보다 약 3% 역성장했다. 2013년 90만㎘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소주 판매가 약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각사마다 자신의 파이를 지키거나 키우려 안간힘을 쓰는 모습에 가깝다. 특히 하이트진로는 지역업체가 그나마 선전 중인 영남시장 공략에 골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경북, 부산경남에 소주 신제품 출시가 쏟아진 건 우연이 아닌 셈이다.

시·도별로 1개 업체만 소주를 생산하고 이 가운데 50%를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자도주법'이 1996년 폐지되며 지역 소주업체들은 하이트진로나 롯데주류처럼 수도권 시장을 잡은 업체들로부터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이들은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마케팅 비용을 쏟아붓고 유명 광고 모델을 기용한다. 하이트진로의 2018년 소주 매출액은 1조398억여원에 달했다. 전년(1조345억여원)에 비해 50억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역 소주업체들이 반격할 수 있을까? 이들은 수도권 진출의 꿈은 접었다는 게 중론이다. 무학이 '좋은데이'로 2014년 수도권 진출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들였음에도 수도권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채 오히려 대선주조가 부산시장 점유율 1위를 가져가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과도한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어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으니 지방 소주업체들이 수도권 시장을 바라보긴 어렵게 됐다"고 귀띔했다.

이처럼 새롭게 진출할 시장은 없는데 대기업과 시장을 놓고 싸워야 하는 지역 업체들의 최근 매출과 영업이익은 신통치 않다. 금복주는 경북에서 여전히 80%대 점유율을 사수하고 있지만 대구에서는 '참이슬'을 내세운 하이트진로에 이미 역전당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 정보에 따르면 금복주 매출은 2016년 1천391억원에서 2017년 1천305억원, 2018년 1천182억원으로 뚜렷한 하향세다. 영업이익도 2017년 331억원에서 2018년 246억원으로 25% 이상 줄었다. 무학의 매출은 2017년 2천505억원에서 2018년 1천937억원으로 떨어졌고, 영업이익은 2017년 287억원에서 2018년 100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충청, 호남 업체들도 사정이 비슷하다. 지역 소주업체들이 부진하면서 부산에서는 C1, 제주에서는 한라산, 호남에서는 잎새주와 같이 지역을 여행하는 소비자들이 해당 지방 소주를 마시며 기분을 내는 것도 언제까지 가능할까 하는 우려가 드는 게 현실이다.

지역 소비자들이 외면할 때 지역 소주업체는 살아남을 수 없다. 자유시장경제에서 도태되는 업체가 생기는 것은 당연지사이지만 지역 업체의 새로운 시도에 주목하고 격려하는 것도 우리 지역의 특색을 유지하고 일자리를 지키는 방법이 아닐까.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