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전이 딱 2년만에 열린다.
18일 오후 7시 30분부터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2019 EAFF E-1 챔피언십(구 동아시안컵) 남자부 대한민국 대 일본의 경기가 진행된다.
한국, 일본, 중국, 홍콩이 참가하고 있는 이 대회에서 현재 2승을 기록 중인 한국과 일본이 우승을 결정 짓는 경기이다.
다만 똑같이 2승이긴한데, 한국이 골득실 +3인 반면(홍콩에 2대0 승, 중국에 1대0 승), 일본은 골득실이 +6이라서(중국에 2대1 승, 홍콩에 5대0 승), 한국은 반드시 이겨야하고, 일본은 최소 비겨도 우승한다.
이번 대회가 한국 홈에서 열리는 이점을 벤투호가 잘 활용해야 하는 부분.
그러면서 과거 한국과 일본의 축구 역대전적에도 관심이 향한다.
1954년을 시작으로 참 많이 붙었다. 78전 41승 23무 14패로 한국이 우세하다.
최근 10년 전적은 어떨까? 2010년 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동아시안컵 경기에서 3대1로 승리한 것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 역시 도쿄에서 진행된 EAFF E-1 챔피언십 경기에서 4대1로 이긴 것까지. 8전 3승 3무 2패이다.
이 3무 가운데 1무는 승부차기 패(2011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이기 때문에, 사실상 8전 3승 2무 3패라고도 볼 수 있다.
역대 전적 전체와 비교하면 호각지세인 것.
▶2010년 2월 14일 일본 도쿄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 3 : 1 승
이동국, 이승렬, 김재성
▶2010년 5월 24일 일본 사이타마
친선전 2 : 0 승
박지성, 박주영
▶2010년 10월 12일 대한민국 서울
친선전 0 : 0 무
▶2011년 1월 25일 카타르 도하
AFC 아시안컵 준결승 2 : 2 무 (승부차기 0대3 패)
기성용, 황재원
▶2011년 8월 10일 일본 삿포로
친선전 0 : 3 패
▶2013년 7월 28일 대한민국 서울
EAFF 동아시안컵 1 : 2 패
윤일록
▶2015년 8월 5일 중국 우한
EAFF 동아시안컵 1 : 1 무
장현수
▶2017년 12월 16일 일본 도쿄
EAFF E-1 챔피언십 4 : 1 승
김신욱(2골), 정우영, 염기훈
그런데 이 호각 구도의 '디테일'은 점점 불안정해지는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양국 축구가 전력이 들쑥날쑥했던 50~80년대를 지나 제법 수준을 안정적으로 다진 시기인 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를 살펴보면, 무승부 및 1골 또는 2골 차 승부만 났고, 3골 차 이상 승부가 난 적은 없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앞서 언급한 것처럼 4대1로 이기기도 하고, 0대3으로 지기도 하는 등 점점 스코어를 예측하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한편, 이번 한일전 중계는 SPOTV NOW와 MBN에서 맡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