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 안전 덮개, 경남지역 조기 시행서 저비용 고효율 입증
17만 어린이에게 8억5천만원이면 모두 보급 가능
지난 9월 스쿨존에서 발생한 교통사망사고로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경북에서도 '어린이 가방 안전 덮개'를 보급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황병직 경북도의원은 5일 열린 제312회 7차 예산결산위원회 경상북도교육청에 대한 예산심사에서 속도 제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천천히' 등의 교통안전 문구가 표기된 형광색의 '어린이 가방 안전 덮개'를 경북의 모든 유치원과 초등학생에게 무상보급할 것을 촉구했다.

황 도의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경북지역 어린이보호구역(유치원 포함)으로 지정된 곳은 1천209개교로, 이 가운데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학교는 593개교로 절반 이상(51%·616개교)에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이처럼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 미비한데도 등·하교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경북도와 도교육청의 예산은 전혀 편성되지 못했다"며 "경북도의 어린이 안전 관련 예산은 7개 사업, 44억원 정도로 대부분 행사성 사업이고, 경북교육청도 학생 안전 관련 예산이 8개 사업, 114억원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황 도의원이 제기한 어린이 가방 안전 덮개 보급 사업은 경남지역에서 미리 추진 중인 사업으로, 사고율이 매우 낮아지고 어린이보호구역 무사고 지자체도 생기는 등 예산 대비 효과가 아주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지역 학부모 중에도 개인적으로 가방 안전 덮개를 구입해 SNS를 중심으로 사용기를 남기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내년 기준 경북지역 내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수는 16만8천830명으로 가방 안전 덮개(개당 5천원 가량)를 17만개 구입하더라도 예산 8억5천만원이면 가능하다는 게 황 도의원의 주장이다.
황병직 도의원은 "경북교육청에서 지난 2016년 1천189억원, 2017년 870억원, 지난해 1천779억원의 불용액이 발생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내년도 본예산 또는 정리추경예산에서 충분히 어린이 가방 안전 덮개 보급 사업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