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산업동향…의료 기기 1년 새 49% 감소, 자동차부품 생산 10% 줄어
주력업종 감소폭 두드러져…소비는 백화점 선전으로 활기
지난달 대구경북 광공업 생산 감소폭이 전국 평균보다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국이 부진한 가운데 대구는 소폭 늘었다.
동북지방통계청이 29일 발표한 '대구경북 산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광공업생산지수는 103.4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5.8% 감소했다. 경북도 5.3% 줄어든 88.6을 기록하며 부진을 이어갔다.
같은 기간 전국 광공업 생산은 2.5% 감소해 대구경북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대구경북 모두 주력업종의 부진이 뼈아팠다. 대구가 육성하고 있는 의료정밀기기 생산이 1년 새 49.0% 줄었고, 자동차부품 생산도 10.0% 감소했다. 기계·섬유업종 생산은 각각 8.1%, 4.5% 늘었지만 전체적인 부진을 막진 못했다.
전국도 전자제품(-14.4%), 자동차(-6.6%)가 부진했지만 반도체 생산액이 전년 대비 11.7% 늘며 전체 제조업 생산 감소폭을 상쇄했다.
통계청은 자동차의 경우 중대형 승용차, 세단형 차량의 생산 및 판매가 부진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전자제품은 최근 글로벌 공급 과잉과 중국의 저가 공세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이 감소한 점이 원인으로 풀이됐다. 자동차와 LCD 디스플레이는 대구경북 제조업 생산에서 비중이 큰 품목이다.
소비시장은 전국이 부진한 가운데 대구는 다소 활기를 띠었다. 지난달 대구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104.6을 기록해 전년 대비 0.3% 늘었다. 반면 경북은 79.0으로 3.9% 감소했다.
대구는 대형마트 판매가 2.0% 줄었지만 백화점 판매가 1.7% 늘어나는 등 소비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양새다. 전국 백화점과 대형마트 판매액은 각각 전년 대비 2.5%, 1.5% 감소했다.
한편 전국도 생산·소비·투자가 동반감소하면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2% 달성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생산과 소비, 투자가 전반적으로 부진해 올해 2% 성장률 달성이 상당히 버거워진 것은 맞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1월과 12월 지표가 상당히 좋아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