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언론 플레이?

입력 2019-09-10 11:40:35

경상북도의회 조례안 제정 두고 도의회와 관계 기관 내홍

전종훈 경북부 기자
전종훈 경북부 기자

"요즘 언론 플레이 너무 하는 거 아닙니까?"

경상북도의회 A상임위원장이 최근 경북 B기관 관계자에 호통을 쳤다. 도의회에서 B기관과 관련된 조례안 제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이 언론에 고스란히 노출됐기 때문이다.

도의회 일부 도의원은 대표 발의한 동료 도의원을 신뢰했기 때문에 발의에 동참했지만 조례안의 여러 문제점이 언론을 통해 하나 하나 밝혀지면서 '싸잡아' 뭇매를 맞았다.

결국 화살은 그 조례안을 시행해야 할 B기관으로 돌아갔다.

A위원장은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조례안이 문제가 있으면 언론이 아닌 우리 도의원들을 찾아와 설득을 해야 하는 게 먼저 아니냐"며 "언론에는 마치 도의회에서 일방적인 조례안을 체결해 밀어붙이는 것처럼 나왔다"고 하소연했다.

A위원장은 전화한 김에 B기관의 문제점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경북도는 90% 이상 지역업체에 물품을 구입하거나 사업을 준다. 이는 선거법과 별개로 지역 경제를 살리자는 취지"라며 "반면 B기관은 90% 이상이 경북 이외의 지역으로 물건을 준다. 지역 업체가 속해있으면 경쟁으로 돌리고 다른 지역 업체에게는 찍어준다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B기관 관계자 C씨는 "내년 총선을 의식한 일부 도의원이 너무 입막음을 하려고 한다"며 "조례안 자체가 형평성 논란이 되고 문제가 있다면 아무리 심의기관이라도 바른 목소리를 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맞섰다.

특히 C씨는 "공정한 입찰방식을 비판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우리 기관은 법적·윤리적 기준에 의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특혜성 사업 진행은 절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북도의회와 B기관은 각자의 이유가 분명했다.

언론인으로서 이런 사항을 취재했을 때 도의회를 비난하려는 의도를 갖는다면 '내년 총선 의식하는 도의원들…경북도 모 기관 압박'이란 기사가 나갈 수 있다.

반대로 B기관에는 '지역 외면하는 경북 B기관, 90%이상 타 지역에 일감줘…일부 업체는 특혜 의혹도'라는 기사로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언론 플레이' 하지 않겠다. 팩트(fact)가 있다면 객관적인 취재와 기사로 독자에게 평가를 맡기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