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연귀산(連龜山) 거북바위를 보며

입력 2019-09-07 01:30:00

전영권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과 교수

전영권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과 교수
전영권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과 교수

1530년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 대구도호부 '산천'(山川)조(條)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연귀산은 부의 남쪽 3리에 있는데, 대구의 진산(鎭山)이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마을을 형성할 때 돌 거북을 만들어 산정부에 머리는 남쪽으로, 꼬리는 북쪽으로 향하도록 묻어 지맥을 통하게 한 까닭에 연귀라 부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연귀산과 거북바위에서 대구의 진산이 연귀산임을 알 수 있다. 진산은 풍수적 용어다. 즉, 마을이나 도읍지 뒤편에서 진호(鎭護)하는 산으로 주산(主山)이라고도 부른다. 연귀산은 현재 제일중학교가 자리하고 있는 곳이다. 조선조 순조 때는 연귀산에서 오시(午時, 오전 11시?오후 1시)를 알리는 포를 쏘았다고 해서 '오포산'으로 불리기도 했다.

제일중학교를 방문하게 되면 학교 건물 앞쪽에 머리를 앞산 쪽(남쪽 방향)으로 꼬리는 팔공산 쪽(북쪽 방향)으로 향해 있는 돌로 만든 거북이를 실제 볼 수 있다. 연한 자줏빛을 보이는 모래 질 암석인 자색(紫色) 사암에 거북 형상을 새겨 놓았다. 거북바위는 타원형을 보이며 여러 곳에 성혈(性穴, cup-mark)도 보인다. 과거 대구지역 선사인들의 무덤인 고인돌의 덮개석이라 전해 온다.

연귀산 거북바위는 고문헌에 기록된 대구 최초의 유물로 대구를 상징하는 보물이다. 팔공산과 비슬산(앞산) 사이에 위치해 있는 대구분지는 풍수적인 관점에서 보면 지맥이 단절된 모습이다. 그래서 단절된 지맥을 잇기 위해 작은 언덕에 불과한 연귀산에 거북바위를 묻어 지맥을 연결한 것이다. 더욱 신통한 일은 앞산이 약 7천만 년 전 화산 폭발로 형성된 화산임을 어떻게 알았는지 불기운이 강한 앞산의 화기(火氣)를 다스리기 위해 물의 신에 해당하는 거북이를 만들어 비보(裨補)한 것이다.

유럽 여행 중 프랑스를 들를 때면 대부분의 한국인은 평평한 도시 파리에 있는 해발고도 129m 높이의 '몽마르뜨 언덕'을 어김없이 찾는다. 몽마르뜨 언덕은 군신의 언덕 또는 순교자의 언덕이라 불리는 명소로, 인근에는 유명한 예술인들의 흔적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지역에는 몽마르뜨 언덕보다 더 가치 있고 대구의 정체성과도 같은 연귀산이 있지만 지역민들은 별 관심이 없다. 그래서 필자는 이런 생각을 해본다. 대구를 상징하는 동물을 거북이로 하고 거북바위가 있는 연귀산에 대구의 대표 광장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달구벌 최초의 성인 달성(達城)보다 시대가 앞서는 연귀산을 중심으로 선사시대의 이야기, 역사시대의 이야기, 근대화 골목의 이야기 등을 풀어나간다면 대구가 보다 매력 넘치는 도시가 될 것이다. 대구를 대표하는 역사 관광지로 근대화골목이 지나치게 부각된 것은 또 다른 역사 왜곡이다. 일제강점기의 암울했던 이야기를 간직한 근대화골목이 대구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관광산업 역시 올바른 역사적 토대에서 성장해나갈 때, 우리의 자긍심과 자존감 또한 고취되리라 믿는다.

대구 출신 대문장가인 사가 서거정 선생은 그의 한시 대구십영(大丘十詠)에서 연귀산과 거북바위를 읊고 있다. 여기에 서거정 선생의 '귀수춘운'을 소개한다.

귀수춘운(龜岫春雲): 연귀산의 봄구름
귀잠은은사오잠(龜岑隱隱似鼇岑): 거북 뫼 은은하여 자라 뫼 닮았네.
운출무심역유심(雲出無心亦有心): 무심히 피어난 구름 또한 의미가 있네.
대지생령방유망(大地生靈方有望): 바야흐로 대지의 생명과 영혼들이 바라듯,
가능무의작감림(可能無意作甘霖): 아무 뜻 없이 단비를 내리겠는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