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여행 보이콧' 반작용으로 한국도 피해"
한국인의 일본 여행이 80% 감소할 경우 내년 일본 경제성장률이 0.1%포인트 가까이 내려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한일 여행절벽의 경제적 피해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일본 여행이 급감할 경우 일본 관광산업, 생산, 고용에 부정적 영향이 가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인이 일본 여행으로 쓴 돈을 말하는 여행서비스 지급액이 지난해 51억7천만달러에서 최근 20년 가운데 최소 수준인 1998년 9억7천만달러로 81.2% 감소하는 상황을 전제했다. 최근 여행 취소율이 높고, 과거 사드 보복 당시 중국인의 한국 관광이 75.1% 줄어들었던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반작용으로 일본인의 한국 여행이 줄어들면 국내 경제에도 타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일본의 한국 여행이 39% 감소하는 상황이 이어지면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0.05%포인트 하락한다고 봤다.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쓴 돈을 말하는 대(對)일본 여행서비스 수입이 지난해 17억7천만달러에서 최근 20년 가운데 최소 수준인 2015년 10억8천만달러로 감소하는 상황을 전제했다.
보고서는 "여행절벽 피해는 일본이 클 것으로 판단되나 반작용으로 일본인의 한국 여행 감소, 국내 관광산업 실적 악화가 예상된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일본 여행 보이콧'을 부추기는 식의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