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책임 있고, 피고소인 신분인데도 민정수석 앉히려는 정부의 의도가 의심된다" 주장
1년 전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MUH-1) 추락사고로 순직한 장병 5명의 유가족들이 2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김조원 사장의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을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순직 장병 유가족들은 "자신의 회사(KAI)가 제작한 헬기의 프로펠러가 통째로 날아가는 바람에 헬기가 추락해 무고한 젊은 장병들이 희생됐는 데도 지금껏 단 한 번도 책임 있는 사죄를 한 적이 없다"며 "책임을 외면하는 KAI 사장이 민정수석 자리에 앉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순직 장병 유가족이 헬기 추락사고 직후인 지난해 7월 KAI를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혐의로 검찰에 고발해 현재 김 사장이 피고소인 신분인데도 청와대 중책에 앉히는 것은 의도를 의심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김 사장이 민정수석으로 임명될 경우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헬기 추락사고 이후 보인 현 정부의 무성의·무책임한 태도가 김 사장의 민정수석 임명으로까지 이어지며 유가족들에게 수모를 주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다.
유가족에 따르면 장병 5명이 순직했는 데도 문재인 대통령은 조문도, 별도의 공식 애도 성명도 낸 적이 없었고, 오히려 영결식 후 SNS에 조문의 글을 올려 유가족들의 공분을 샀다. 청와대는 헬기 추락사고가 난 다음 날인 지난해 7월 18일 사고 헬기 마린온의 원형인 수리온(KUH-1) 성능과 기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피고소인인 김조원 사장을 임명하는 것을 국민의 이름으로 반대한다. 가족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도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이 결코 민심을 살펴 국정을 펴는 자리에 설 수 없다"고 말하며 성명을 맺었다.
마린온 추락사고는 지난해 7월 17일 포항 해군6항공전단 비행장에서 KAI 측의 정비를 받은 뒤 시험비행을 하던 중 발생했다. 당시 마린온은 이륙한 지 불과 4초 만에 프로펠러가 떨어져 나갔고, 이 사고로 탑승 장병 5명이 목숨을 잃고 1명이 큰 부상을 입었다.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 내정자는 2017년 10월 KAI 사장으로 취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