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신정치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의 건의를 받아들여 내년 총선 과정에서 공천권을 내려놓을 경우(매일신문 15일 자 4면 보도), 황 대표의 그늘에서 벗어나 공정하게 관리할 공천 담당 기구의 성격이 관심사로 부상했다.
우선 혁신위는 지난주 전체회의에서 황교안 대표에게 내년 총선 과정 중 영향력을 행사하지 말고 공천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2선으로 물러나 달라고 건의했다.
황 대표 측도 기분 나빠할 일만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새누리당 공천에 사실상 개입, 당내 분란을 일으키면서 총선에서 참패한 전례가 있는 만큼 황 대표 스스로 공천권을 내려놓겠다는 선언을 통해 공정 경쟁과 후보 인재 풀을 넓힐 수 있다는 해석 때문이다.
황 대표가 공천권에서 손을 떼고 선거에만 전념할 경우 '공천관리위원회'가 실질적으로 공천작업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공천관리위원회는 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의 의결을 거쳐 임명하는 1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재적 3분의 2 이상은 당외인사로 한다. 최고위원은 지역구 공천관리위원을 겸할 수 없다. 최고위원이 배제되고 당외 인사가 대거 참여함으로써 특정인의 입김을 막고 공정한 공천이 이뤄질 것이란 게 한국당 측 설명이다.
다만 관련 당규에 따르면 '공천관리위원회는 선거일 120일 전까지 구성한다'고 명시돼 있다. 바꿔 말하면 선거 석 달 전에만 구성하면 되는 기구를 벌써부터 구성할 필요가 없다는 말로도 해석된다.
이 때문에 한국당은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전, 별도의 총선기획단을 꾸려 총선과 관련한 전국적인 큰 그림을 그릴 가능성이 크다. 총선기획단이 발족되면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활동하되 전체적인 공천 방침이나 공천룰의 현실적인 적용방안 등을 거시적으로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혁신위도 최근 인물난을 겪고 있는 한국당의 현실을 고려해 조기에 공천기획단을 출범시켜 지역·직능별로 질서 있는 인재 영입에 나서는 방안을 지도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전체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현재 활동하는 후보군의 경쟁력을 평가해 총선에 나설 인물이 조기에 부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공천기획단의 역할이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