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농부들 중에는 열매채소(가지, 토마토, 고추, 오이, 옥수수 등)가 어느 정도 자라고, 열매가 맺히기 시작하면 잎을 대부분 따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잎이 열매로 가야 할 영양분을 빼앗아가지 않을까 염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물의 잎을 다 따버리면 작물은 급격히 약해지거나 죽어버린다.

잎과 뿌리가 영양을 흡수해 저장한 것이 '열매'라고 보면 된다. 열매는 스스로 덩치를 키우지 못하므로 잎이 꼭 필요하다. 열매 하나를 키우는 데는 반드시 몇 장의 잎이 필요하다. 어떤 작물이든 열매 바로 아래위에 달린 한두 장의 잎은 따면 안 된다. 그러나 벌레가 갉아 먹어 부실한 잎, 노화되어 낡은 잎은 따주는 것이 좋다.
잎은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고 그 영양분을 뿌리로 보내지만, 낡은 잎은 광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오히려 영양분을 소비하는 양이 더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낡은 잎이 많이 달려 있으면 통풍이 나빠지고, 안쪽의 건강한 잎이 받아야 할 햇빛도 가리므로 빨리 따주도록 한다.

노쇠한 잎이 아니더라도 지나치게 잎이 무성해 통풍을 방해할 정도라면, 잎을 적절하게 솎아주어야 한다. 그래야 병해를 예방해서 식물체와 열매를 더 튼튼하고 크게 키울 수 있다.
잎은 광합성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비료 성분을 빨아들이기도 한다. 비료 성분이 부족해 성장이 더디거나 식물체가 매우 허약할 때 땅에 비료를 주기보다 비료를 물에 녹여 희석한 다음 잎에 직접 뿌리면 흡수가 빨라 효과가 금방 나타난다. 이것을 '엽면시비(葉面施肥)'라고 한다. 식물의 상태에 따라 엽면시비를 해야 할 경우가 있지만, 효과가 빠르다고 해서 무작정 엽면시비를 하는 것은 식물의 다른 기관이 해야 할 일을 못 하게 하는 것이므로 식물체를 허약하게 만들 수 있다.
엽면시비는 응급조치라고 할 수 있다. 뿌리는 뿌리대로, 줄기는 줄기대로, 잎은 잎대로 해야 할 역할이 있으며, 각자 제 역할을 할 때 식물체는 건강해진다. 빠른 효과에 재미를 붙여 엽면시비에만 의존할 경우 포기는 결국 약해지고 만다.
김경호 군위체험학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