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칼럼] 미래 자동차의 모습을 통해 미래를 대비하자

입력 2019-05-29 06:30:00

환경오염`사고 위험 줄일 미래차
공유형 자율주행 전기차가 대세
‘美 차량 2030년 4천만대로 감소’
보고서 예측 맞다면 충격적 변화

정우창 대구가톨릭대 교수
정우창 대구가톨릭대 교수

1880년 런던에서는 매일 5만 마리의 말이 사람과 상품을 실어 날랐다. 뉴욕에서는 10만 마리의 말이 하루 7~15㎏의 똥과 1ℓ가 넘는 오줌을 쏟아내 뉴욕은 하루 1천t이 넘는 말똥으로 넘쳐났다.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는 50년 안에 런던의 모든 거리는 3m 높이 말똥에 파묻히는 '말똥 재난'이 닥쳐온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말똥 문제는 1886년 독일의 칼 벤츠가 발명한 자동차에 의해 말끔히 해결됐다.

우리는 인구 70억 명, 자동차 보유 대수 13억 대의 시대에 살고 있다. 매년 자동차 사고로 130만 명이 사망하고, 2천만 명에서 5천만 명이 부상을 당하며, 자동차 사고 처리에 523조원을 사용한다.

그런데 자동차 사고의 98.7%는 인간의 실수로 일어난다. 자동차는 전체 에너지의 20%를 사용하고, 자동차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은 수천만t에 이른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는 배출량의 25%가 자동차이다. 말똥 문제를 해결해 준 고마운 자동차가 130년이 지난 오늘 오염물질 배출 주범이 됐으며, 차똥 문제를 일으키는 골칫덩어리가 되어 버렸다.

5월은 아직 봄이지만 이미 대구는 35℃에 가까운 한여름이고, 우리는 매일 미세먼지의 안부를 물으며 살아가고 있다. 자동차 사고와 차똥 문제를 풀어줄 미래 자동차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해답은 한정된 에너지원과 환경오염으로부터의 자유로움(친환경 자동차), 운전의 불편함과 사고 위험으로부터의 자유로움(자율주행차), 필요할 때 쉽고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자유로움(공유형 차), 일상과 차 안에서 생활의 경계가 없는 자유로움(커넥티드카)을 모두 충족시킨 자동차이다. 한마디로 미래자동차는 공유형 자율주행 전기차(Shared Autonomous Electric Vehicle·SAEV) 이다.

'2020~2030 운송산업: 대변혁과 내연기관 자동차산업, 석유산업의 붕괴'라는 제목의 Rethink X 보고서는 실로 충격적이어서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2030년 미국 내 자동차 주행거리의 95%는 SAEV가 차지한다. 2021년 SAEV 이용 비용은 신차 구매 비용의 10%에 불과하고 유지, 보수, 충전 등 비용도 25~50% 수준이지만 가동률이 10배에 이르러 차량 소유 대신 차량 공유를 택하게 된다.

미국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20년 2억4천700만 대로 정점을 찍은 후 2030년에는 82%가 감소한 4천400만 대로 줄어든다. 자동차 딜러, 유지 및 보수, 정유회사 등 자동차산업 가치 사슬이 붕괴되고 세계 석유 수요는 2020년 하루 1억 배럴에서 2030년 7천만 배럴로 감소한다. 주차 공간 수요가 감소해 부동산 분야도 변화가 예상된다.

자동차 제조, 정비, 운전, 석유 업종 일자리는 크게 감소한다. 차량 운행 시스템, 컴퓨터 플랫폼, 공유 서비스, 자율주행으로 자동차 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기술·서비스 업종이 창출된다.

보고서 예측대로 미래 운송산업이 전개된다면 실로 엄청난 변화가 예상된다. 미국 인구 3억3천 명이 4천400만 대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면 7.5명이 1대의 자동차를 가지는 셈이 된다.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는 2.3명이 1대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되면 공기 좋은 시골 전원주택으로 공유형 차를 호출, 자율주행 모드 전기차를 타고 부족한 잠을 자거나 모닝 커피와 함께 신문을 보면서 출퇴근하면 된다.

5월 초에 경상북도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미래 자동차 기술과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3시간 동안 강의를 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로봇, 자율주행 등을 학습하여 새로운 미래 사회에 대한 대응 전략 마련이 목표라고 했다.
미래는 미리 준비하는 자에게는 희망이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절망이 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