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TK의원들 "지역 맞춤형 투쟁 검토할 때"

입력 2019-05-05 18:58:39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4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4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문재인 STOP, 국민이 심판합니다' 3차 장외집회를 하고 행진을 위해 이동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소속 대구경북(TK)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당의 장외투쟁 노선에 고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21대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구 활동을 도외시한 채 서울과 전국 순회 투쟁 일정을 소화하는 게 부담스러운 모양새다.

5일 곽대훈 한국당 대구시당위원장은 "서울 광화문과 전국 순회 투쟁도 좋지만, 지역구 국회의원은 지역구 민심을 대변하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며 "지역구 활동을 하면서도 당의 입장을 국민께 전달하고 설득하는 맞춤형 투쟁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곽 위원장은 "서울 도심 집회를 세 차례 했으니 이제는 투쟁 포맷을 다양화할 때이다"며 "우리 당은 정부를 경영한 경험이 있는 정당인 만큼 무작정 길거리에 뛰쳐나가 구호만 외쳐서는 안 된다. 정책적 대안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구에 우리의 투쟁을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중앙당에 전달하는 소통 투쟁을 해야 한다. 또한 '2030'에게는 문화제, 토크 콘서트 등 세련된 방법으로 우리의 투쟁을 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곽 의원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데는 최근 세 차례 열린 한국당의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반발 서울 광화문 집회를 두고 부작용을 호소하는 곳이 속출하는 탓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TK 국회의원은 "당원이라고 해도 황금 같은 주말 하루를 가족과 생업을 팽개치고 타지역에서 열리는 거리 집회에 동원하면 당장 당원부터 불만이 나온다. 그러다 보니 버스 두 대를 동원하는 것도 벅차다"며 "다른 당협에서 버스 4대 이상 동원했다고 하면 어떤 수를 썼을지 의심부터 할 정도"라고 했다.

대구의 한 당협위원장도 "대구에서 몇몇 지역구 국회의원 당협위원장은 조직이 잘 정비되어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은 곳도 있다. 그럼에도 당에서 일괄적으로 당원 동원 할당량까지 제시하니 읍소해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기초단체장이 버티고 있는 구미에 지역구를 둔 백승주 의원은 "하루에 두세번 서울과 구미를 오가는 부지런함으로 극복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경호 한국당 전략기획부총장은 "앞으로 주말 집회는 거점도시 별로 이뤄지며 서울로 당원을 모으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와 별개로 집회는 집회대로 하겠지만 이제 황교안 대표가 국민 속으로 들어가서 문재인 정권의 민생 파탄 실상을 직접 듣고 국민이 원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답을 찾는 소통형 '민생 투쟁 대장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