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곳 중 3곳꼴로 '어닝 쇼크'
상장기업의 1분기 실적 발표(어닝 시즌)가 본격화한 가운데 지금까지 실적을 공시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보다 평균 4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5일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67곳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총 19조2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들 기업의 작년 1분기 영업이익(32조4천841억원)보다 41.50%나 감소한 수준이다.
무엇보다도 전자, 화학 등 주력 수출산업의 부진이 뚜렷했다.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황 하락으로 인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2천억원으로 작년 동기(15조6천422억원)보다 60.4% 감소했다. SK하이닉스도 작년 1분기(4조3천673억원)보다 68.7% 급감한 1조3천665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LG화학은 전지(배터리) 부문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에 따른 일회성 비용 등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2천754억원으로 작년(6천508억원)보다 57.7% 줄었다. SK이노베이션의 1분기 영업이익도 석유·화학제품 마진 감소 등 영향으로 3천311억원에 그쳐 작년(7천116억원) 대비 53.5% 감소했다.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와 비교해도 부진하다. 증권사 3곳 이상의 실적 추정치가 있는 43개사 가운데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10% 이상 미달한 '어닝 쇼크'(적자 확대·적자 전환 포함) 기업은 13개사(30.2%)였다.
이에 비해 기대치를 10% 이상 넘어선 '어닝 서프라이즈'(적자 축소·흑자 전환 포함) 기업은 8개사(18.6%)에 그쳤다. 작년 4분기 이후로 기업 실적에 대한 시장의 눈높이가 많이 하향 조정됐지만 실제 실적은 낮아진 눈높이에도 못 미친 셈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세계 경기의 둔화로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중국의 경기 부양책도 자국 내수 중심이어서 우리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빨라도 연말은 돼야 기업 실적이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