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화장장 입지를 둘러싼 지역사회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 인구 1천 만명 시대를 맞아 연관산업 규모 또한 매년 커지는 추세다. 하지만 반려동물 사육 문화를 둘러싼 여러 마찰 등 부정적 요소를 해소할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데다 동물화장장 건축에 대한 찬반 논란이 크게 불거지면서 해법은 더디고 사회적 비용은 눈덩이처럼 커지는 모양새다.
현재 대구경북 지역 개·고양이 등 추정 반려동물 수는 모두 123만 마리다. 문제는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처리 방식에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반려동물 인구의 약 60%가 화장을 희망하는 등 수요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나 지역에 관련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지역 내 동물화장장은 청도와 구미, 단 2곳뿐이다. 처리 능력도 연간 1천800여 마리에 불과하다. 반려동물의 평균수명을 고려한 단순 계산법으로 매년 8만 마리 넘게 죽는 것을 감안하면 동물화장장의 현실을 알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동물화장장 건축 허가를 놓고 인근 주민과 사업자 간 대립이 끊이지 않는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자치단체대로 여론을 의식해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무분별한 화장장 건축은 문제이지만 이를 혐오시설로만 보는 시각도 사태를 어렵게 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대구시나 근교 시·군에서 화장장 건축을 놓고 법정 소송 등 분쟁이 발생한 곳도 여러 곳이다.
이제는 동물화장장 문제를 공론화해 합리적인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먼저 머리를 맞대고 공동으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등 동물화장장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안을 찾아야 한다. 동물화장장의 필요성과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사업성을 우선하는 민간에 모든 것을 맡겨 놓을 게 아니라 용인시 사례처럼 공공 동물화장장 운영 방안도 참고할 만하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사회 갈등만 키운다는 점에서 종합적인 판단에 기초한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