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CCTV 조작 가능성 제기…알리기 어려운 장면 있었나

입력 2019-03-28 18:41:09 수정 2019-03-28 23:10:41

사회적 참사 특조위, 세월호 CCTV 관련 조사 내용 중간발표
참사 발생 3분 전 영상만 존재…침몰 원인·선내 구조상황 안 담겨

28일 사회적참사 특조위가 중간발표한 세월호 CCTV DVR(디지털영상저장장치) 관련 조사내용 중 해군이 선내에서 수거했다고 주장해온 DVR(왼쪽)과 세월호 DVR에서 상이한 열쇠구멍과 잠금 상태 모습. 연합뉴스
28일 사회적참사 특조위가 중간발표한 세월호 CCTV DVR(디지털영상저장장치) 관련 조사내용 중 해군이 선내에서 수거했다고 주장해온 DVR(왼쪽)과 세월호 DVR에서 상이한 열쇠구멍과 잠금 상태 모습. 연합뉴스

해군과 해경이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폐쇄회로(CC)TV 증거자료를 조직적으로 조작, 은폐했을 가능성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28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세월호 CCTV DVR(CCTV 영상이 저장된 녹화장치) 관련 조사 내용 중간발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의혹을 제기했다. 사회적 참사 특조위에 따르면 그해 8월 검찰이 세월호 CCTV를 복원한 결과, 참사 발생 약 3분 전인 오전 8시 46분까지 영상만 존재해 침몰 원인과 선내 구조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이 없었다.

그러나 일부 생존자는 사고 당일 세월호가 이미 기운 오전 9시 30분께까지 3층 안내데스크에서 CCTV 화면을 봤다고 증언했다.

28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28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세월호 CCTV DVR(디지털영상저장장치) 관련 조사내용 중간발표'에서 의혹이 제기된 선내 DVR(왼쪽). 조사단은 '해군이 선내에서 수거했다고 주장해온 DVR과 세월호 DVR이 상이한 것으로 의심되는 단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해경은 선박사고 조사의 기초 증거인데도 참사 발생 두 달이 지나서인 6월 22일 밤 11시 40분께 단 한 대 있던 CCTV DVR을 공식적으로 수거했다.

특조위는 해군과 해경이 CCTV 증거자료를 사전에 확보해놓고, 이후 연출을 통해 해당 자료를 수거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조위는 해군이 6월 22일 당시 '가짜 DVR'을 동원한 것으로 보고 있다. DVR 수거 작업이 담긴 수중 영상을 확인한 결과, 분리·수거 작업 과정이나 DVR을 들고나오는 과정에서 영상 속에 DVR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해군이 수거하는 과정에서 찍은 영상 속 DVR은 추후 검찰이 송치받은 DVR과 서로 다르다는 점, DVR 수거 작업이 밤늦게 남들이 알 수 없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도 DVR 조작 정황을 뒷받침한다고 특조위는 설명했다.

사회적 참사 특조위의 박병우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국장은 "해군과 해경이 세월호 DVR을 6월 22일 이전에 미리 수거해놓고, 이후 이상 없이 꺼내온 것처럼 연출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은폐의) 윗단(윗선)을 추론하는 게 대단히 조심스럽지만, 누군가는 참사가 났을 때 그 상황을 정확히 알고 싶어했을 것이고 그래서 미리 수거했을 수 있다고 본다. 국민께 발표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어서 수거를 연출한 것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조위는 선체 인양을 위한 바지선 위에 민간 잠수사와 독립 언론인 등이 있는 상황에서 DVR 수거를 연출하기 위해 일부러 밤늦은 시각에 작업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국장은 "6월 22일 밤처럼 조용하게 잠수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며 "통상 해군들은 작업할 때 복명복창을 하는데 그날은 하지 않았고, 왜 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모르겠다'고만 답했다"고 설명했다.

특조위는 해경 측에서 DVR 수거 작업이 담긴 수중 영상 원본을 제출하지 않아 조사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따라 관련 제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조위는 사회적 참사 특별법에 따라 조사에 중요한 증언을 하거나 자료 등을 제출한 이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거나 사면을 건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