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동안 공식 입장을 내지 않던 북한이 '협상중단'과 '미사일 실험 재개'에 나설 수 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하며 미국을 향한 압박에 본격 나섰다.
미국이 제재 강화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등 북한을 몰아세운 데 대해 북한이 '벼랑 끝 전술'로 응수한 것으로, 협상 주도권을 쥐기 위한 북미 간 기 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판을 흔들기 위해 실험 재개의 길로 나아가고 미국도 강경 기조로 대응할 경우 한반도 정세는 급격히 냉각될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15일 평양 기자회견에서 '협상중단'과 '미사일 실험 재개' 가능성까지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표면적으로는 상당히 위협적이다.
북한은 작년 3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단 방북 때 "대화가 지속되는 동안 추가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전략 도발을 재개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고 같은 해 4월 20일 개최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 결정서를 통해 그 입장을 공식화했다.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개발의 전 공정이 과학적으로, 순차적으로 다 진행됐고 운반 타격 수단들의 개발사업 역시 과학적으로 진행돼 핵무기 병기화 완결이 검증된 조건에서 이제는 우리에게 그 어떤 핵시험과 중장거리, 대륙간탄도로켓 시험발사도 필요 없게 됐다"고 밝혔다.
당시만 해도 핵무력 완성에 따른 자발적인 '실험 중단'이라고 설명했던 북한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보름 만에 실험 카드를 다시 만지작거리기 시작한 것이다.
최근 북한이 과거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가 이뤄졌던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을 재건하는 모습이 위성을 통해 포착되기도 했다.
만약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다면 지난해부터 시작된 화해 분위기는 순식간에 사라지고 '강대 강'의 대치 국면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에 서고자 하는 기싸움 성격이 더 강하다는 분석이 많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랑해온 대표적 대외 분야 성과(북한의 핵·미사일 실험 중단)를 파괴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미국의 양보를 끌어내려는 압박 수단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은 것이다.
또한 최 부상의 회견은 북미정상회담 이후 미국에서 강경파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을 내세워 '제재 강화' 가능성까지 언급하는 등 북한을 압박하는 상황에 대해 '가만있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최 부상이 '협상중단'을 선언하지 않고 김 위원장이 조만간 이와 관련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힌 것도 미국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여지를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북한은 최 부상의 회견을 통해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밝혔던 입장에서 물러설 생각이 없음을 확실히 하고 있어 대화가 이른 시일 내에 재개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미국에서도 회담 결렬 이후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회의론이 더욱 거세지며 트럼프 대통령이 움직일 공간이 점차 좁아져 냉각기가 길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