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분기점 달성 위해 매출총량제 확대, 신규 승식 개발 등 필요
청도소싸움경기가 지역축제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매출총량제 확대와 새로운 승식개발, 우수 싸움소 확보 등 단계별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청도공영사업공사는 최근 열린 '청도소싸움경기사업 활성화 최종보고회'에서 제시된 매출총량제 제한액 상향조정 방안을 적극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싸움경기는 현재 매출총량제 300억원에 묶여있는데, 이는 경마 대비 매출액의 0.3%, 경륜 1.26%, 경정 4.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소싸움은 전통 소싸움경기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형 레저스포츠로 막 진입했으나 사행산업이란 이유로 경마 등과 단순 비교되면서 지나치게 제한을 받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매출총량제 상향을 꾸준히 제기했고, 올해 350억~400억원으로 증액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사는 고객 확대와 매출액 증대를 위해 신규 승식개발에도 나선다. 현행 4개 승식에서 삼복승식(연속 3게임 승부 맞추기), 라운드 단승식(승부와 관계없이 단일게임의 라운드 숫자만 맞추기) 등 6개 유형 9개 승식을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 ▷우수싸움소 양적 확보 ▷환급률 조정 ▷자동우권발매기 설치 ▷모바일 베팅 도입 등의 방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공사 관계자는 "청도군의 보조금 지원에서 벗어나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매출액 1천억원을 달성해야 한다"며 "매출총량제 확보와 단계별 매출액 확대 전략에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