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세먼지, 정확히 측정 않으면 대책도 없다

입력 2019-03-09 06:30:00

시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공포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도 대구 지역엔 이를 측정할 시설과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부족한 시설조차 시민 실생활과는 동떨어진 곳에 설치해 둔 곳이 대부분이어서 측정치에 대한 신뢰도도 떨어진다. 사정이 이러니 대구시가 일상화한 시민들의 미세먼지 공포를 제대로 이해는 하고 있는지 의구심을 떨치기 어렵다.

대구시가 미세먼지와 대기오염 물질 농도 등을 측정하고자 설치한 대기질 측정망은 16곳에 불과하다. 측정망 1대당 축구장 7천700개(55㎢) 면적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이마저도 특정 지역에 치우쳐 있기 일쑤다. 동구는 남쪽에만 2곳이 있고 달서구는 북쪽에만 3곳이 있다. 대구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달성군 역시 2곳뿐이다. 대구 시민들이 즐겨 찾는 두류공원, 신천변, 앞산, 동성로 등 인구 밀집 지역은 아예 측정 대상에 포함하지도 않았다.

측정망 위치도 환경부 기준을 지키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다. 측정망은 지상 1.5~10m에 설치해야 하지만 이 기준을 지킨 곳은 대구의 측정망 16곳 중 2곳뿐이다. 사람들이 호흡하는 공간이 아닌 훨씬 높은 공간에서 측정한 수치를 근거로 제대로 예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미세먼지는 대개 바닥에 깔리기 때문에 높은 곳에 설치하면 정확한 농도 측정이 어렵다. 시민들은 높은 곳에서 측정한 공식 수치를 믿고 나다니는 일이 벌어질 개연성이 크다.

시민 실생활과 밀접한 곳에서 정확히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지 않으면 맞춤형 대책 마련도 어렵다. 미세먼지가 사회문제화되자 각 도시들은 앞다퉈 대책을 내놓고 있다. 부산시는 최근 입체적으로 대기질을 감시할 수 있는 '대기질 정밀측정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광주시는 벌써 지난해 10월 '미세먼지 없는 청정 광주 만들기' 5개년 계획을 세워 진행 중이다. 모두가 정확한 공기 오염 측정을 통한 대책 세우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구시도 하루빨리 미세먼지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 물질의 정확한 측정이 먼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