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국물기술인증원 입지 선정 발표가 당초 기대처럼 3월에 이뤄질지 의문스러운 분위기다. 주관 부처인 환경부의 물 관련 조직 개편과 산하 기관 인사를 둘러싼 영향력 행사 의혹 수사 등이 맞물려 입지 선정을 위한 연구 용역 완료 4개월이 넘도록 아직 분명한 일정조차 나오지 않고 있어서다. 게다가 입지 선정위원회 위원 위촉조차 않고 있으니 더욱 걱정이다.
대구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물산업을 꼽으며 정책 역량을 모은 지 오래다. 대구는 달성의 국가산업단지 내에 이미 물산업 클러스터까지 조성한 터다. 특히 대구는 인천시와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최근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와 중시 정책 그리고 대형 국책사업의 대구경북 홀대 현상마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흐름을 보면 정부의 입지 선정 지연이 불안할 수밖에 없다.
불행히 환경부의 물 정책은 국가산업단지 물산업 클러스터의 위탁 운영 기관 선정을 둘러싼 여러 의혹에 휩싸였다. 국회가 감사원 감사 청구를 결정하는 등 신뢰성에 상처도 입었다. 하지만 이번 인증원 입지 선정은 국가 물산업의 미래를 위한 중대 정책인 만큼 투명하고 엄정한 기준과 공개적 일정을 통해 서둘러야 한다.
대구시로서는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해야 한다. 비록 대구가 다른 지역보다 앞서는 물산업 기반을 구축한 유리한 입장이겠지만 결코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정부의 물기술인증원 입지 선정 작업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 또 물 관련 산업이 산재하는 경북도와도 대구경북 상생 차원에서 긴밀한 연대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
아울러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등 4당의 대구경북 국회의원들 역시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야 한다. 혹 정치적인 논리로 입지가 선정되는 일이 없도록 나서야 한다. 이번 입지 선정은 대구경북의 미래 산업지도를 바꿀 수도 있는 중대 현안이다. 그만큼 지역 정치권이 여야를 떠나 공조와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