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대구역과 반야월역 버려져 미국·벨기에서 자라
우연히 받은 유전자 검사 계기로 자매 확인
"늦게 만난 만큼 언니와 한평생 함께… 부모님도 찾을래요"

"동생을 찾았다는 이메일을 보자마자 눈물이 쏟아졌어요. 평생 존재조차 모르고 살아왔는데, 이제는 부모님을 꼭 찾고 싶습니다."
18일 오전 11시 중년 여성 두 명이 손을 꼭 잡고 함박웃음을 지으며 대구역 대합실로 들어왔다. 미국에서 온 크리스틴 페넬(Christine Pennell·50) 씨와 벨기에에서 온 킴 해일런(Kim Haelen·48) 씨였다.
이목구비가 꼭 빼닮아 어딜 봐도 자매임을 알 수 있었지만, 두 사람은 47년 만에 처음 만난 사이다. 너무 어린 나이에 부모와 헤어져 해외로 입양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두 사람의 모습은 마치 평생을 함께 살아온 자매처럼 정다웠다.

어린 시절 각기 다른 나라로 입양됐던 자매가 47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했다. 두 사람이 친부모와 헤어진 때는 1971년 말로 추정된다. 2살이던 페넬 씨는 대구 반야월역에서, 태어난 지 두 달쯤 지난 해일런 씨는 대구역 광장에서 각각 발견됐다.
서로 다른 보육원으로 옮겨진 두 사람은 1972년 미국과 벨기에로 입양됐다. 페넬 씨는 미국의 한 법률사무소에서, 해일런 씨는 벨기에 특수교육자로 일하며 가정도 꾸렸다.
하마터면 영영 만나지 못할 뻔했지만, 우연히 받게 된 유전자 검사가 인생을 바꿨다. 지난해 해일런 씨가 신장 수술을 받으려 병원을 찾았다가 유전자 검사를 받았고, 이를 공유 사이트 '마이 헤리티지'에 올린 게 계기였다.
마침 페넬 씨도 해당 사이트에 정보를 등록해뒀던 것. 페넬 씨는 "혹시 먼 친척이라도 나타나지 않을까 싶어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등록했는데, '100% 일치 사례가 확인됐다'는 연락을 받고 믿을 수 없어 한참을 울었다"고 했다.

두 사람은 꼭 닮은 얼굴은 물론, 식성과 취미까지 비슷하다. 이제 두 사람의 꿈은 얼굴조차 모르는 부모님을 찾는 일이다. 한국 이름과 진짜 생일도 알고 싶다고 했다.
페넬 씨는 "부모님도 행여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느낄 수 있겠지만, 전혀 화나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 혹시 우리가 버려졌다고 해도 분명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을 거라 고 생각한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해외 입양인을 돕는 한미 여성들의 모임 '배냇' 관계자는 "만약 이들 가족을 알고 계신 분이 있다면 대구경찰청 장기실종수사팀으로 연락해 달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