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13일 부산에서 전국경제행보...청와대와 정부 방위비 분담금 추가 인상 우려 누그러뜨리기 노력

입력 2019-02-13 17:57:14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공단 내 대경 PNC에서 열린 대한민국 도시 미래, 부산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이날 행사는 문 대통령의 전국 경제투어 여섯 번째 행사로 열렸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공단 내 대경 PNC에서 열린 대한민국 도시 미래, 부산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이날 행사는 문 대통령의 전국 경제투어 여섯 번째 행사로 열렸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전국 경제투어'의 6번째 일정으로 13일 부산을 찾았다.

문 대통령의 부산 방문은 지난해 9월 14일 부산 비엔날레 관람 이후 약 5개월 만으로 '정치적 고향'으로 꼽히는 PK(부산·경남) 지역의 민심을 끌어안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산 사상공단에 있는 폐공장 대호PNC에서 열린 '부산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부산 경제 활력은 곧 대한민국 경제 활력"이라며 "정부도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청와대와 정부는 1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으로 촉발된 한·미 방위비분담금 추가 인상 우려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 방위비 분담금이 지속해서 인상돼야 한다'라는 취지로 발언한 것과 관련, "인상을 너무 기정사실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방위비 분담금 협정의 기한은 1년이지만, '한미 양측이 합의를 통해 1년 더 연장할 수 있다'는 내용이 부속 합의문에 들어가 있다. 인상 필요성 여부를 한미 양측이 검토한 뒤, 현재 수준을 유지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한미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SMA) 타결과 관련해 "그들(한국)은 어제 5억달러(약 5천627억원)를 더 지불하기로 동의했다", "전화 몇 통에 5억달러" 등을 주장한 데 대해서는 "합의한 액수는 분명히 1조389억원"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최초 요구액이었던 '1조4천400억원'이라는 수치와 혼동했을 가능성에 대해 그는 "트럼프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수치에 대해 배경이 어떤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는 있겠지만 하여튼 양국간 합의한 내용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