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 챙겼는데…' 경북도 예타 면제 '빈손' 비판에 속앓이

입력 2019-01-30 18:56:02 수정 2019-01-30 23:22:10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29일 도청에서 동해선 전철복선화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선정에 대해 브리핑 하고있다. 경북도 제공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29일 도청에서 동해선 전철복선화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선정에 대해 브리핑 하고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29일 발표된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 선정 여파로 속앓이 중이다. 내부적으로는 실리를 챙긴 것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실적이 낮다는 외부 시선 때문이다.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김천~거제 간 남부내륙철도 사업이 예타 면제 사업으로 선정돼 총 사업비 4조7천억원 중 약 1조6천억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의 경북 내 구간만 60㎞로 전체 노선의 약 33%에 달한다. 그런데 이 사업이 경남도가 건의해 선정된 예타 면제 사업이다 보니 경북도로선 대놓고 말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경북도가 이번 정부 예타 면제 사업에서 확보한 사업은 동해선 단선 전철화다. 포항~동해 간 총연장 178.7㎞를 전철화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4천억원이 투입된다. 애초 도는 4조원 규모의 복선 전철화를 건의했지만 '단선, 4천억원'으로 수정, 반영됐다.

어찌됐건 이번 예타 면제 사업에서 경북이 확보한 전체 사업 규모는 2조원에 이른다는 게 경북도의 계산이다.

게다가 이와 별도로 1조4천억원 규모의 문경~김천선 철도도 정부의 광역권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 현재 건설 중인 중부내륙선(이천~문경) 철도와 연계해 수도권으로 연결되는 내륙선 철도망을 완성할 단초도 얻었다.

그럼에도 도청 안팎의 시선이 싸늘하다. 동해안 고속도로(7조원)와 동해선 복선 전철화(4조원) 사업 등 '11조원을 건의했는데 4천억원밖에 선정 안 됐다'는 결과 때문이다.

특히 남부내륙철도 사업은 김천을 지역구로 뒀던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대표 사업인데 '김경수 사업'으로 각인돼 더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이 도지사는 2010년부터 정부를 상대로 이 사업을 건의했고 2013년부터는 '국회 내륙고속철도포럼' 공동대표를 지내며 사업 추진에 큰 열의를 보여왔다.

도는 남부내륙철도 예타 면제 건의를 검토했지만, '도지사 지역구 사업이라 괜한 오해 살 수 있다'고 판단, 동해안권 사업 2개를 선정했다는 후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