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을 앞두고 경기도에서 구제역이 발생, 가축농이 많은 경북도에 비상이 걸렸다. 도는 이번 설 연휴 기간 동안 귀성객과 해외여행객 등 사람과 차량의 많은 이동이 예상되는 만큼 '설 명절 대비 가축방역특별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28일 경기도 안성에 있는 젖소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 젖소 120여 마리의 살처분이 진행 중인 가운데 하루 만인 29일 안성의 또다른 농가에서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경북도는 구제역 위기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하고 도와 동물위생시험소·시군·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등 유관기관 상황실을 24시간 비상체제로 가동한다. 거점소독시설과 통제초소 14개를 설치, 축산차량 통제와 소독 등 방역에도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도는 설 연휴를 구제역 방역의 고비로 보고 있다.
설 명절 전후인 30일과 다음 달 7일 축산관계 시설뿐 아니라 철새 도래지, 밀집 사육지, 소규모 농가, 전통시장, 고령농가 등을 대상으로 모든 인력과 방제 차량을 투입하는 '일제 소독의 날'을 운영한다.
고속도로 진·출입로, 버스터미널, 기차역, 마을입구 등 귀성객이 많은 장소에 홍보 현수막을 걸고 마을방송, 반상회 회보, 카드뉴스 등 모든 수단을 동원, 축산시설 소독 등에 나선다. 방역 요령과 농장 방문 귀성객의 행동 요령도 홍보한다.
귀성객의 축산 농가와 철새 도래지 방문 자제를 권유하고 부득이하게 방문하는 사람과 차량에 대해선 방문 전후 소독을 시행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도내 축산 농가는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의지로 방역 수칙을 준수해달라. 도는 철저한 방역대책으로 구제역이 유입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도내에서는 2010~2011년 16건, 2014년 2건, 2015년 8건의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구제역 발병 사례가 없다. 2015년 당시 영천, 안동 등 전국에서 185건의 구제역이 발생, 돼지 등 17만여 두가 살처분됐다. 당시 경북지역 피해 보상 등에 재정 120여억원이 소요됐다.
한편, 구제역 의심 사례 발생 농가는 1588-4060으로 신고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