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운동 30만명에도 불통 정부 비판
‘탈원전 내세운 정부가 정작 원전 정책 모른다’ 원색적 비난도 쏟아져
청와대가 14일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 재개 공론화 문제에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히자, 울진 등 지역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최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밝힌 원전 재개 발언에 대해 "추가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최근 "노후 원전과 화력발전소를 중단하는 대신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청와대의 입장이 발표되자마자 신한울원전 3·4호기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울진 지역은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 장유덕) 공동위원장(울진군의회 부의장은 "앞서 공론화는 신고리 5·6호기에 관한 사안이었다. 정부가 뭔가 단단히 오해하거나 아니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또 "약속된 원전을 일방적으로 폐기하는 과정에서 왜 국민의 뜻을 묻는 것에 거부하는지 모르겠다. 이것이 소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정부의 모습이냐"고 분통을 터트렸다.
현재 자유한국당과 울진군, 울진군의회, 울진범대위 등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위해 지난해 12월 13일부터 온·오프라인을 통한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울진범대위에 따르면 서명운동은 14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온라인 18만7천218명, 오프라인 11만5천50명 등 총 30만2천268명을 기록했다.
울진범대위 등은 이 서명 자료를 조만간 청와대에 전달하고, 지역민들이 쓴 손편지를 릴레이 형식으로 보내는 등 꾸준히 청와대의 문을 두드려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접 책임 있는 답변을 듣겠다는 입장이다.
전찬걸 울진군수는 "앞서 신고리 5·6호기 관련 사회적 공론화에서 신한울 3·4호기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이번 청와대의 발표는 그만큼 원전사업에 대해 아무것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을 스스로 밝힌 꼴"이라며 "탈원전에 찬성하는 사람이 있으면 반대하는 사람도 분명히 있다. 이를 국민에게 직접 물어보고 사회적인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신한울 3·4호기 건설 사업은 총사업비 8조2천억원을 투자해 울진군 고목리 일원에 1천400㎿급 한국신형원전(APR1400) 2기를 짓는 사업이다.
지난 2017년 2월 산업부 승인을 받아 3호기는 2022년 말, 4호기는 2023년 말 준공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같은해 10월 '에너지전환 로드맵'이란 탈원전 정책이 발표되며 사실상 전면 백지화됐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