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특별열차로 4차 방중… 북중 밀월 강화 분위기

입력 2019-01-08 17:57:07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께(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해 김 위원장 집권 후 4번째 방중 일정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께(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해 김 위원장 집권 후 4번째 방중 일정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쯤(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해 김 위원장 집권 후 4번째 방중 일정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쯤(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해 김 위원장 집권 후 4번째 방중 일정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했다.

김정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 대남 및 외교 정책 책임자인 김영철·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과 박태성 과학기술·교육 담당 부위원장, 노광철 인민무력상 등이 탄 특별열차는 이날 중국 경찰의 삼엄한 경비 속에 베이징역에 안착했다.

앞서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는 전날 저녁 단둥을 통과한 뒤 선양역에 도착해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등 중국 측의 환영을 받았고, 곧바로 베이징으로 향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역에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급이 직접 마중을 나왔고 김 위원장 일행의 차량은 수십 대의 사이드카의 호위를 받으며 오전 11시 16분쯤 중국이 초대한 귀빈이 묵는 조어대(釣魚台)로 들어갔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3월 1차 방중 시에도 대규모 수행단을 이끌고 특별열차를 이용해 베이징에 와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난 바 있다.

이번에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를 이용한 것은 올해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아 북한 지도자의 전통적인 방중 수단인 열차를 통해 양국 간 우의를 보여주려는 의미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중 간 밀월 강화 분위기에 더해 방중한 8일이 김 위원장의 생일이라는 점과 그에 따른 중국 측의 환대와 의전 등을 고려해 수행단 규모가 커졌고, 이에 따라 전용기보다는 열차를 이동수단으로 택했을 가능성도 크다.

이를 보여주듯 지난해 전용기를 이용했던 김 위원장의 2차와 3차 중국 방문의 경우 1박 2일로 이번보다 일정이 짧았다.

김 위원장은 이날 조어대에서 휴식을 취한 뒤 오후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4차 정상회담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인민대회당은 시진핑 주석이 다른 나라 정상들과 공식적으로 만날 때 이용하는 장소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은 이날 인민대회당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양국 간 입장을 조율하고 북·중 관계 개선 방안 등을 협의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해 3월 26일 첫 방중 당시에도 북·중 정상은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북·중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3박 4일의 비교적 긴 일정을 이용해 김 위원장이 중국의 발전현장을 방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한, 고위급 수행원들이 북한 핵 문제와 외교, 군사, 과학기술 등 분야의 책임자라는 점에서 중국 측과 다양한 의제를 놓고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중 양국은 기존 '비밀주의' 관행을 깨고 김정은 위원장이 베이징에 도착하기도 전에 방중 사실을 동시에 발표해 북·중 정상 간 만남이 정상국가 간 교류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7일부터 4차 방중에 나선 가운데 8일 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동한 중국 인민대회당으로 북한 방문단 차량이 줄을 지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7일부터 4차 방중에 나선 가운데 8일 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동한 중국 인민대회당으로 북한 방문단 차량이 줄을 지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