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지구 2023년 하반기 완공 계획 '글쎄…' 주민 갈등 심각

입력 2019-01-08 06:30:00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대구 법원과 검찰이 옮겨갈 연호지구의 개발계획을 올해 상반기까지 2020년 하반기 착공하겠다는 목표지만 주민들과의 갈등과 보상협의 절차 등은 난제로 꼽힌다. 수성구 연호지구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대구 법원과 검찰이 옮겨갈 연호지구의 개발계획을 올해 상반기까지 2020년 하반기 착공하겠다는 목표지만 주민들과의 갈등과 보상협의 절차 등은 난제로 꼽힌다. 수성구 연호지구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국토교통부가 연호지구 개발을 공식화하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상반기까지 지구계획을 마련해 2020년 하반기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주민들과의 갈등과 보상협의 절차 등은 난제로 꼽힌다. 현재 연호동, 이천동 일대는 주민협의체만 6개에 달하는 등 복잡한 갈등 양상을 보인다.

◆연호지구 조성, 앞으로 남은 일정은?

LH와 국토부 오는 2020년 하반기 착공, 2023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LH는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올해 7월까지는 지구계획을 모두 마무리할 방침이다. 관련 법령에 따르면 사업시행자는 지구지정 이후 1년 안에만 지구계획을 제출하면 된다.

그러나 실제 착공까지 넘어야 할 난관도 상당하다. LH가 지구계획 수립한 후에는 국토부가 '통합심의위원회'를 개최하는데, 심의에만 통상 1년 이상 소요된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통심위는 교통·교육·환경 등 전 분야에 걸쳐 영향평가를 한다.

주민들과의 갈등과 보상절차도 사업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국토부가 발표한 대구연호 공공주택지구 지정 고시에 따르면, 보상이 필요한 전체 땅 필지는 모두 1천168개에 달하며 대부분 사유지로 나타났다. 감정평가와 보상액 증액을 둘러싼 소송까지 모두 마무리되려면 2023년까지 사업 완공은 무리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LH 관계자는 "어려움도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 목표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민 비대위만 6개…"향후 보상갈등 심각해질 것"

연호지구 개발 계획이 본격화하면서 연호동, 이천동 일대는 주민들이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난립하는 등 수용을 둘러싼 갈등이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호지구 개발 계획이 진행되는 동안 결성된 주민협의체는 연호동(40명), 이천동(20명), 칼치마을(34명) 등 3개였다. 이천동 일대에 자리잡은 '칼치마을'은 마을 형태가 생선 갈치와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올해 초 지구지정이 이뤄진 이후는 비대위가 최대 6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주민들 간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여러 비대위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앞서 구성된 주민협의체 내부에서도 강경파와 온건파가 나뉘어 의견 대립을 보이고 있다. 강경파는 '소송 등을 통해 토지 수용을 적극적으로 반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반면 온건파는 '현실적으로 보상액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맞서면서 기존에 있던 비대위가 양쪽으로 나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입주를 시작한 다가구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민협의체도 곧 결성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원주민들과 이주민 간 수용 찬·반을 둘러싼 희비도 엇갈릴 전망이다.

오래전부터 연호동에 살아온 원주민들은 최근 입주자들도 자신과 똑같이 보상을 받는 데에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가구주택가구는 연호지구 전체 100여 가구 중 절반인 50여 가구를 차지하고 있다.

연호동 한 주민은 "주민들 간의 입장차가 워낙 커 통합 비대위 출범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며 "향후 보상문제가 본격화되면 원주민과 이주민 간 갈등도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