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구시, 대기 중 발암물질 관리대책 마련 고심...내달 중장기 대책 발표 예정

입력 2018-12-24 06:30:00

대기환경기준 확대 등 지자체 차원 대책 마련 한계 뚜렷하다는 지적도

대구지역 대기 중에 1급 발암물질이 상존(매일신문 12월 11일 1, 3면)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가운데 대구시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내달 중 중장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 마련에는 한계가 있다.

대구시는 23일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지적된 톨루엔과 6가 크롬(Cr6+) 등의 배출 특성 등을 분석해 유해대기 오염물질 관리대책 마련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구를 비롯한 주요 대도시의 대기 중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규정한 1군 발암물질 등이 상존하지만 현황파악 단계에만 머물러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대기오염측정망 2022년까지 19곳으로 확대 ▷산단별 오염물질 배출 중점관리업소 선정과 지도점검 강화 ▷악취방지시설 설치 보조금 지원조례 제정과 기술 지원 ▷환경교육 강화와 친환경 산단 조성 등 유해대기 오염물질 관리대책 마련을 검토 중이다.

특히 대구시는 산단별 맞춤형 저감대책 마련을 통해 대기 중으로 흩어지는 오염물질을 원천 차단할 작정이다. 이는 대구 3공단에서 도금 작업시 광택을 내기 위해 6가 크롬을 사용하고, 염색공단에서는 염료 등을 녹일 때 톨루엔을 대량 사용하는 등 산단별 배출특성이 존재한다는 분석에 따른 계획이다.

그러나 이같은 대책은 미봉책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기 중 유해물질 관리에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 대기환경기준 확대와 국가유해대기물질 측정망 추가 설치는 환경부 차원의 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와 대구시는 지난 1981년부터 국가유해대기물질 측정망과 대기중금속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기환경기준이 없다는 이유로 현황 파악에만 그치고 있다. 특히 30년이 넘도록 국가유해대기물질 측정망은 수성구 만촌동과 남구 대명동 두 곳뿐이고, 측정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중금속 44종 중 대기환경기준이 있는 물질은 벤젠과 납 두 종밖에 없다.

대기 중금속 측정망의 경우 위험도가 덜한 3가 크롬과 1군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을 총크롬으로 함께 측정해 실효성이 떨어지지만 이번 대책에서도 분리 측정 계획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환경부에 국가유해대기물질 측정망 추가 설치를 건의했지만 무산됐다. 내달 한 번 더 공업지역에 추가 설치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대기환경기준 확대는 환경부 차원에서 설정해야 하는데 쉽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관리가 어렵더라도 일단 대구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