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정치가 정암 조광조가 1519년 12월 20일 유배지 전남 화순군 능주에서 사약을 받고 숨졌다. 관직에 몸담은 지 4년 만으로 38세 때였다.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은 성리학의 토대 위에 유교적 이상 국가를 건설하고자 정암 조광조를 중용했다. 조광조는 사명감에 불탔다.
그는 기득권 세력인 훈구파와 곳곳에서 마찰을 일으켰고 3, 4일에 한 번씩 상소를 올리며 개혁을 주장했다. 이에 훈구파와 충돌은 물론이고, 중종 임금도 조광조의 개혁에 피로를 느꼈다.
1519년 10월 반정공신 117명 중 76명의 훈작을 삭탈할 때까지만 해도 조광조는 승리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이어진 기묘사화로 조광조는 역습을 받았고, 유배형을 받았다. 그리고 얼마 후 사약을 받았다.조두진 문화부장
조두진 문화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