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저점 이후 회복할지, 더블딥이나 장기침체 빠질지 예단 못해"
현대경제연구원은 현재 경기가 하강 국면이며 이 같은 흐름이 내년 상반기나 하반기 초까지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9일 '경기 하방 리스크 관리를 통한 경제 복원력 강화'라는 보고서에서 "2017년 5월 정점 이후 한국 경제는 2018년 4분기 현재까지 하강 국면을 지속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최근 성장세는 내수 부문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수출이 방어하는 모양새이지만 이젠 수출도 낙관하기 어려운 상태다.
올해 1∼9월 총수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4.7%였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1.7% 감소했다. 반도체 외에 다른 산업의 수출 경쟁력은 좋지 않다는 의미다. 그나마 수출을 이끌던 반도체 경기도 점차 꺾이고 있다는 것이다.
대외적으로 보면 세계 경기, 중국 경기 하강 가능성이 고개를 드는 모양새다. 특히 중국 경기가 경착륙할 경우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클 수 있어 우려를 낳는다.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p) 하락하면 한국 수출증가율은 1.6%p, 경제 성장률은 0.5%p 하락 압력이 생긴다.
리스크 요인 등을 고려하면 경기 저점은 내년 상반기∼하반기 초에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경기 저점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경기를 회복할지, 더블딥 형태로 얼마 지나지 않아 경기가 다시 고꾸라질지, 장기 침체 형태의 'L자형' 경기 경로로 이어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