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관세 부과 중단…미중 무역분쟁 잠정중단

입력 2018-12-02 17:52:37 수정 2018-12-02 23:45:34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무역 담판'이 휴전으로 일단 봉합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인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팔라시오 두아우 파크 하야트 호텔에서 업무 만찬 형태로 이뤄진 회동에서 앞으로 90일 동안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로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대신 양국이 강제적인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비관세장벽 등을 협상하기로 했다. 대신 중국은 미 반도체업체 퀄컴의 인수합병에 제동을 걸었던 조치를 재검토키로 하는 등 양국은 일정 부분 주고받는 제스처를 취했다.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하게 됐다. 양국은 예정됐던 내년 추가 관세 부과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일(현지시간) 무역 담판을 통해 추가 관세 부과를 멈추고 협상을 재개하는 일시적 휴전에 합의했다. 이날 미국은 내년 1월부터 2천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올리려던 계획을 보류했고 중국은 미국산 제품 수입을 늘리는 데 합의했다.

이 외에도 양국은 앞으로 90일 동안 강제적인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보호, 비관세장벽, 사이버 침입‧절도 등 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변화를 위한 협상을 즉각 개시하기로 합의하고, 양측은 이 기간 이내에 협상을 완료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기로 합의해 중국 제품 관세를 10%로 유지하기로 했다"며 "만약 이 기간 종료 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10%의 관세는 25%로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도 "두 지도자는 새로운 관세 부과를 중단하기로 합의했다"며 "중국은 국내 시장과 인민 수요에 따라 수입을 확대하고 미국으로부터 시장 수요에 맞는 상품을 사들여 무역 불균형 문제를 점차 완화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