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사투리 '졔우'의 표준말은 '가까스로'이다. '끼리다'의 표준말은 '끓이다'이고 '얼기미'(구멍이 널찍한 체)의 표준말은 '도드미'이며 '시가리'의 표준말을 '서캐'이다.
지은이는 미수(米壽)를 목전에 두고 있는 대구토박이로 이 책은 2003년 고희(古稀)를 기념해 낸 '버려진 낟알을 찾아서'의 후속편이다. 서문에 "선대에서 구전되어 온 민담과 설화 등에서 몸에 밴 자료를 그냥 버리기 아까워 묶은 것을 조금씩 보완해 전술했다"고 밝혔듯 이 책은 경상도'대구 사투리를 표준어와 비교해 뜻풀이와 함께 사전식으로 묶은 것이다.
단어뿐 아니라 속담과 고사성어의 경상도'대구 말씨도 뜻풀이와 더불어 책의 뒤편에 정리해 놓았다. 일례를 들면 '똥 묻은 개 딩기 묻은 개 숭 본다'(겨 묻은 개 똥 묻은 개 흉본다)나 '버리 누름이에 햇늙은이 얼어 죽는다'(꽃샘잎샘에 반늙은이 얼어 죽는다) 식의 사투리 표현이 경상도 사람이라면 귀에 쏙쏙 들어온다. 190쪽, 1만5천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