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수능을 치르는 남매에게

입력 2018-11-14 18:13:15 수정 2018-11-15 17:40:34

이석수 교육팀장
이석수 교육팀장

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으로 다음 날 치러질 예정이었던 2018학년도 수능이 불과 12시간 앞두고 일주일 연기되는 결정이 내려졌지. 자연재해로 시험 연기라는 초유의 상황을 맞아 수험생들의 혼란에 빠진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구나. 많은 학생들이 이미 버린 책더미를 뒤졌고, 서점엔 1주일 단기 정리용 문제집이 불티나게 팔렸지. 그럼에도 우리 수험생들은 날벼락을 맞은 포항의 친구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내며 교육부의 조치가 잘된 결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나도 당시 지면을 통해 '공정한 경쟁의 가치를 배운 여러분 모두가 승자'라는 내용의 기사를 썼단다.

어쨌든 작년 수능에서 넌 평소의 성적을 얻지 못했고, 연년생인 동생과 함께 수능을 다시 보게 되는구나. 부모의 마음으로는 둘 다 원하는 목표를 이루길 바라지만, 누구 하나가 그렇지 않을까 봐 더욱 염려가 되는 게 사실이다. 열아홉, 스무 살 꽃 같은 나이에 공부밖에는 할 수 없는 상황 속에 몰린 너희들을 애처로운 심정으로 지켜봤기에, 이날을 앞두고 더욱 애잔하고 먹먹한 마음이 든다.

지난해 초 임대아파트에 살며 홀로 외아들을 키워 서울대에 보낸 지체장애인 어머니를 취재하면서 "내가 해 줄 것이라곤 기도밖에 없었다"는 말이 무겁게 남았다. 행여 너의 실패가 나의 탓인 양 싶었고, 욕심을 부렸지 않았냐는 반성도 했다. 너희들을 키우면서 이미 많은 기쁨을 얻었는데도 말이다. 나도 마음을 내려놓으니 그 어머니처럼 될 수밖에 없더라.

수능이 한 문제의 실수로도 등급 당락이 엇갈리는 냉혹한 '룰'이라는 점에 나도 할 말이 많다. 또 기성세대로서 너희들에게 지옥과 같은 입시 경쟁을 물려줄 수밖에 없어 미안함을 느낀다. 하지만 오늘은 그저 누구나 똑같은 조건에서 치르는 시험이라는 생각만 하자. 기계와 같은 입시 생활을 반복하면서 고통 또한 많았겠지만, 그 시간을 성실하게 보내고 최선을 다한 경험은 긴 인생을 살아가는 데 큰 밑천이 될 것이다. 결과가 아름다울 수 있는 건 우리가 지내왔던 시간들, 즉 과정이 있기 때문이야.

이제 너희들은 학생에서 어른으로, 학교에서 사회로 나아가는 문을 열고 있다. 수능이나 대학은 그저 네 삶의 작은 과정이자 목표를 위한 수단일 뿐이다. 인생은 너의 친구들과의 경쟁이 아닌 나 자신과 벌이는 장기 레이스임을 알았으면 한다. 남을 만족시키는 삶이 아닌 나를 만족시키는 인생을 살기 바란다. 누구처럼 되기 위한 것이 아닌 너희들만의 색깔을 가진 인생이었으면 좋겠다.

살다보면 크고 작은 선택의 기로를 만난다. 그때마다 실패를 생각하면서 주저하지 않기를 바란다. 설사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다고 해도 인생에서 성장할 기회를 얻는다. 넘어지는 것이 실패가 아니라 시도조차 않는 것, 두려워 도전을 포기하는 것이 패배임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또 기억해야 할 것은 너희들이 아슬아슬한 고비를 넘을 때마다 가까이 지켜보면서도 대신해 줄 수 없는 안타까움과 간절한 바람을 지닌 가족들과 여러 선생님이 뒤에 계셨다는 사실이다. 너희들의 성취는 자신의 것만이 아닌 많은 사람들 덕분으로 이루어졌다는 생각을 간직해라. 묘목에서 굵은 나무로 커나갈 시기에 들어서기까지 잘 견뎌 준 너희들이 자랑스럽다. 그리고 정말 고생 많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