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FFVD 달성 노력의 일환"…'유엔 제재 준수하는 남북간 협력' 언급
한미간 균열설엔 "비핵화 관련 긴밀 조율"…'체계적 소통·조율·협력' 체계 구축 차원
한미 양국 정부가 외교와 비핵화 노력, 제재이행, 유엔 제재를 준수하는 남북 간 협력에 대한 긴밀한 조율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워킹 그룹'을 설치하기로 합의했다고 미국 국무부가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같은 워킹그룹 설치 합의는 스티브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한 기간 한국 정부 관계자들과의 논의 과정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팔라디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을 하고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한 활동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비건 특별대표는 방한 기간인 29∼30일 청와대와 외교부, 통일부 등의 한국 카운터파트들을 만났다"며 "이번 방문의 목적은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FFVD)를 달성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들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양국의 이번 워킹그룹 구성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히고 "이번에 취해진 추가 조치는 비건 특별대표와 그의 팀이 이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한미 간 워킹그룹 구성 합의를 놓고 남북 간 협력과 비핵화를 추진하는 데 있어 중장기적으로 한미 간 소통과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상설 조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 정부가 평양 남북정상회담 이후 추진 중인 남북 교류사업과 관련한 제재 예외 적용 문제를 비롯해 남북 간 협력과 비핵화 속도를 둘러싼 한미 간 이견 조정 및 조율도 이 워킹그룹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는 남북관계의 진전과 비핵화 진전이 보조를 맞춰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으며, 미 조야 일각에서는 남북관계 진전이 비핵화 협상의 속도를 뛰어넘는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비건 대표는 이번 방한 기간 남북공동선언이행추진위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을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