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취약계층 위해 밥도 챙겨
청송군은 인구소멸을 넘어 지역소멸에 직면했다. 청송은 머지않아 출생인구가 사라지고 결국 청송이란 지역이 사라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견하고 있다.
지역소멸의 기준은 소멸위험지수로 평가한다.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눠 측정하는 값인데 0.2 미만이 가장 높은 '소멸 고위험단계'로 나뉘며 청송은 0.195로 전국에서 6번째로 낮은 수치다.(본지 15일 자 1·4·5면 보도)
청송군은 귀농·귀촌사업, 이주·정주정책 등 수년 동안 다양한 인구유입 제도를 펼쳐왔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내놓은 달콤한 지원정책에 비교해 특별히 매력을 끌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나 자녀 혹은 손주 키울 정주·교육여건도 부족해 인근 시 단위에 밀리기 일쑤였다.
그러나 청송군은 최근 색다른 인구유입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바로 아이들을 위한 '육아정책'이다. 매력 있는 육아정책으로 아이에게 부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보육기관을 늘리는 것이다.
청송은 최근 국공립 어린이집 인가를 받았다. 특히나 하나금융그룹으로부터 7억원이란 예산을 지원받아 모두 13억5천만원을 투입해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을 구상하고 있다. 22일 하나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첫 삽을 뜨게 된다.
또한 청송은 지난 8월부터 청소년수련관 1층에 청소년을 위한 '소담소담' 급식소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저소득층이나 한부모가정, 맞벌이가정 등의 청소년들이 학교 수업이 끝난 뒤 이곳에서 급식을 받기 위해 청송군이 마련한 것이다.
지난달 사과나무지역아동센터도 문을 열었다. 사과나무아동센터는 일반 돌봄센터보다 더 늦은 시간까지 아이들에 교육을 담당하고 있고 저녁 식사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부모들이 마음 편히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됐다.
청송군의 육아정책은 '인구유입'이 목적이지만 이면에는 '인구이탈'이란 농촌 지역의 숙명을 조금이라도 저지하려는 의지가 있다. 수억 원을 쏟아부어도 답이 없는 인구유입 정책을 조금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 청송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기대되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