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혁신도시 '나홀로족', 2명 중 1명꼴도 안 돼

입력 2018-09-17 05: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18년 7월 31일 현재 혁신도시별 이전기관 임직원 이전 현황. 김정훈 의원실 제공
2018년 7월 31일 현재 혁신도시별 이전기관 임직원 이전 현황. 김정훈 의원실 제공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대구경북의 혁신도시로 이전한 지 13년이 지났지만, 가족과 함께 이주한 임직원은 2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 여건 개선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정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부산 남갑)이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 이전 현황'에 따르면 전체 110개 기관 임직원(3만9천133명) 중 가족이 있는 이전 대상 직원 2만7천114명 가운데 본인만 혁신도시로 옮겨간 경우가 1만2천939명으로 47.7%였다. 배우자·자녀 등 온 가족 동반 이주한 경우는 1만2천937명으로 47.7%였고, 배우자만 동반해 이전한 경우는 1천238명(4.6%)에 그쳤다.

혁신도시별로 보면 경북(이전기관 12개)의 경우 가족이 있는데도 '나 홀로 이전' 한 임직원 비율이 54.1%(2천694명 중 1천458명)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세 번째로 높았다. 대구(이전기관 11개)는 48.8%(2천460명 중 단신 1천201명)로 다섯 번째로 높았다.

10개 혁신도시 중 임직원 단신 이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이전기관 11개)으로 58.3%(3천151명 중 1천836명)였으며, 제주(이전기관 7개)는 32.9%(553명 중 182명)로 가장 낮았다.

김정훈 의원은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의 가족동반 이주율이 저조한 것은 그동안 정부의 혁신도시 정책이 이전에만 집중한 채 정주 인프라 확충 등 질적으로 부족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배우자 이전 지원 정책의 한계와 혁신도시 내 미흡한 교육여건 등이 가족동반 이주를 주저하게 한 주요 원인이기에 내년까지 예정된 혁신도시 내 정주 인프라 확충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