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 대통령 지지율 급락, 국정 철학 '리셋' 하라는 경고

입력 2018-08-10 05: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취임 15개월여 만에 50%대로 내려앉았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조사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율은 지난주보다 5.2%포인트 하락한 58.0%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60% 밑으로 추락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취임 15개월째 지지율로는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높긴 하지만 취임 100일 내내 70∼80%의 고공 행진을 해왔던 지지율이 이렇게 갑자기 50%대로 곤두박질하자 청와대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리얼미터는 지지율 추락의 이유로 김경수 경남지사의 드루킹 특검 출석 보도 확산과 기대에 못 미친 전기요금 인하 방식과 수준으로 꼽았다. 물론 이런 사안들이 영향을 미쳤겠지만, 지지율 추락의 근인(根因)을 파악하려면 시야를 더 넓혀야 한다. 문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운영 방식을 근본부터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문재인 정부의 국정 운영은 동맥경화에 걸리지 않은 부문이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제는 고용·성장·가계소득 등 모든 지표가 악화일로에 있다. 이렇다 할 경제성장 전략 없이 소득주도성장이란 허구에 집착한 결과다. 외교 안보의 성적은 더 처참하다. 취임 이후 비굴할 정도로 북한에 갖은 공을 들였지만 북핵 문제에서 성과는 없다. ‘대화’하되 필요하면 ‘대결’도 불사한다는 결연함의 부재가 낳은 결과다.

‘적폐청산’이란 미명의 과거 파먹기는 더 심각하다. 적폐청산에 쏟는 집요함을 보면 나라의 미래는 문 정부의 안중에 없어 보인다. 미래 청사진으로 평가받지 않고 끊임없는 과거 회귀를 통해 정치적 반대급부를 노리는 정략(政略), 국민의 시선을 적폐로 돌려 자신들의 실정(失政)에 가림막을 치려는 속물적 계산만 번득일 뿐이다.

이런 뒷걸음이 멈추지 않으면 경제도 안보도 국민통합도 공염불이다. 그 결과는 국민이 뒤집어써야 한다.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국정의 총체적 리셋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