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각 부처가 2019년도 슈퍼 예산안을 편성해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 모두 458조원 규모로 올해보다 29조3천억원이 늘었다. 증가율 6.8%로 2012년(7.6%) 이후 전년 대비 최대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연평균 재정지출 7% 증가에 짜 맞춘 듯하다. 과거 기재부 예산 편성 과정을 고려하면 내년 예산안 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의 경우 각 부처는 424조5천억원의 예산을 요구했으나 기재부는 이보다 4조5천억원이 많은 429조원의 예산안을 짜 국회에 넘긴 사례가 그렇다.
문제는 정부가 이런 슈퍼 예산을 편성하면서 지역 예산은 오히려 줄였다는 점이다. 대구시는 내년도 국비사업으로 총 543건 3조4천419억원을 요구했지만 정부 예산안에 2조8천여억원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최근 9년간 3조원을 웃돌았던 정부예산안 대구 몫은 새 정부 출범 후 다시 10년 전으로 돌아가게 생겼다. 경북도도 내년도 3조6천억원 예산 확보를 목표로 잡았지만 3조3천억원밖에 반영되지 않았다. 경북도는 당초 5조4천164억원의 예산을 건의했지만 62%만 받아들여진 셈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당초 계획했던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현안 사업과 미래 먹거리 사업들의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대구시는 글로벌 뇌연구 생태계 기반 구축 사업 등 R&D 분야에 사활을 걸고 있다. 경북도청 이전터 매입, 조야~동명 광역도로 건설, 상화로 입체화 사업 등도 발등의 불이다. 예산이 제때 확보되지 않으면 이들 사업은 두고두고 시민들을 불편하게 할 것이다. 5G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포항~영덕 고속도로 건설 등 핵심 사업을 추진 중인 경북도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각 부처 예산을 늘리며 대구경북 지역 예산을 오히려 줄이는 것은 지역 차별 논란을 부를 만하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지역민들의 정치 성향이 다르다고 예산 홀대를 하는 것은 지역 균형발전을 강조해온 문 정부의 방침과도 어긋난다. 시장, 도지사가 새로 선출된 만큼 확실한 지역 균형발전 논리로 국회와 기재부의 협조를 끌어내야 한다. 예산 확보는 시도민의 선택을 받은 시장도지사가 그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첩경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