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특히 주목해야 할 후보 26인'도 공개
대구에서 출마한 6·13 지방선거 후보 3명 중 1명은 범죄 전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은 후보는 7건의 전과가 있고, 후보 26명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전과라는 게 시민단체 주장이다.
대구참여연대와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는 11일 '대구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할 후보자 정보'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비례대표 후보를 제외한 등록 후보 342명 가운데 34.8%(119명)가 전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이 저지른 범죄는 216건으로 1인당 1.8건으로 분석됐다.
정당별 후보 전과자 비율은 자유한국당이 34.4%(41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무소속 24.3%(29명), 더불어민주당 19.3%(23명), 바른미래당 13.4%(16명)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음주 운전, 무면허 운전 등 도로교통법 위반이 가장 많았다. 공직선거법 위반, 폭력, 사기, 부동산 관련법 위반 등도 있었다.
최다 전과를 기록한 후보는 A 대구시의원 후보로 업무방해, 일반교통방해 등 7건의 전과가 있었다. 해당 후보는 "노동조합 활동, 부당노동행위 저항 등 노동자의 권익 향상과 사회구조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시민사회단체는 '특히 주목해야 할 후보 26인'도 공개했다. 이들은 3차례 이상 법률을 위반했거나 집행유예 이상의 전과가 있는 경우, 반민주·반인권·사회정의 위반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경우를 기준으로 선정됐다.
이들 26명가운데 전과가 가장 많은 후보는 B 달서구의원 후보로 범인 도피, 폭력, 음주 운전 등 6건이었다. 해당 후보는 소명서에서 "차를 빌려 탄 친구가 교통사고를 내고 도주해 본인이 처리한 사건"이라며 "죄송하다"고 했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후보자가 주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는지를 전과 기록, 정책 등을 고려해 꼼꼼히 따져보고 현명한 투표를 하기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