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클러스터 성공의 핵심 '한국물기술인증원' 대구 신설 놓칠라

입력 2018-06-05 21:00:00

달성군 구지면 국가산업단지 내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현장.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달성군 구지면 국가산업단지 내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현장.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성공의 핵심인 한국물기술인증원 설립 지역이 대구로 최종 확정되지 않아 자칫 껍데기만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구시가 물산업 허브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선 한국물기술인증원 신설이 필수적인 만큼 보다 발 빠른 선제적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물기술인증원 신설은 지난달 28일 물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 시작 4년 만에 국회를 통과한 '물관리 기술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안(이하 물기술산업법)에서도 핵심이다.

법 19조에 규정된 한국물기술인증원은 상하수도협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의 기능을 보완한 신설 공공기관으로서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보장하는 인증·검증 업무를 맡게 된다. 법안 통과로 한국물기술인증원은 업무 이관과 조율 과정을 거친 뒤 1년 후 설립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대구에 신설될 가능성만 높을 뿐 '변수'로 작용할 여지도 충분히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설립 지역을 '대구시'로 못 박아 놓은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경기도, 광주, 대전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유치에 관심을 보이며 물밑작업에 나선 것으로 전해지면서 대구시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물기술인증원을 중심으로 물산업 관련 공공기관들의 추가 이전 가능성도 높아지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 간 눈치싸움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자칫 한국물기술인증원이 타 지자체에 설립된다면 사람으로 치면 '몸통(클러스터)'만 대구에 남고 '뇌(한국물기술인증원)'는 다른 곳에 가게 되는 것과 다름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물기술산업법이 뒤늦게나마 처리되면서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이과 관련해 탄력을 받고 있으나 풀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는 상황이다. 물기술산업법은 오는 12월부터 시행되기 때문에 클러스터 준공 이후 정상 운영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내년도 국비 483억원 예산 반영'집행도 아직 안심 할 수 없는 단계다. 대구시 관계자는 "한국물기술인증원이 클러스터보다 더 중요하다"며 "클러스터가 대구에 있는 만큼 당연히 인증 업무도 대구에서 해야 한다. 다른 지역이 유치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핵심을 뺏기는 일"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