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과 전격적인 2차 남북 정상회담을 했다. 북미 정상회담의 불씨를 되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앞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한 지 하루 만에 회담 성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런 선후 관계는 남북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회담의 불씨를 살린 것인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의 ‘취소’는 진심이 아니라 북한의 ‘벼랑 끝 전술’에 대한 대응 전략이었던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한다.
무엇이 됐든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대로 열릴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분명하다. 회담 무산의 가장 큰 피해자는 우리라는 점에서 큰 다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낙관을 경계토록 하는 문제가 있는 것 또한 분명하다. 바로 CVID(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김정은의 의지 여부이다. 이에 대해 김정은은 한 번도 명시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국민이 접하는 정보는 ‘김정은의 비핵화 의지’라는 문재인 대통령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의 ‘전언’뿐이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문 대통령은 27일 “김정은이 한반도 비핵화 의지가 확고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피력했다”고 했으나 그게 CVID인지는 확인해주지 않았다. 결국 2차 남북 정상회담에도 김정은의 속셈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 발도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 대한 북미 간 입장 차만 재확인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해석’ 없이 미국에 전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한미 정상회담 전 전화 통화에서 “왜 북한의 담화 내용이 남북 정상회담 후 문 대통령이 전한 내용과 상충되느냐”고 문 대통령에게 따졌다. 이런 일이 다시는 없어야 한다. 한미 간 틈을 벌리고 김정은에게 남한을 지렛대로 자신의 속셈을 관철할 수 있다는 오판을 하게 할 수 있다. 우리 국민도 어지럽게 변화하는 상황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냉정하게 김정은의 언행을 지켜봐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