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참관단 규모, 2010년보다 두배 가량 커…'중국횡단철도' 건설 협력도 논의한 듯
중국이 지난 14일 방중한 북한 노동당 '친선 참관단'에 농업과 과학기술, 인문 분야의 대규모 협력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은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더라도 북한에 대한 막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북한에 '중국식 개혁개방 모델'을 통한 대규모 경협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17일 베이징 소식통 등에 따르면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은 지난 14일 베이징(北京)에서 박태성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이끄는 북한 참관단과 만나 농업, 교육, 과학기술, 인문 등의 분야에서 교류 협력을 강화하길 원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쑹 부장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근 두 차례 정상회담을 강조하며 북중 간 협력을 강조하고 향후 고위층 왕래도 더욱 활성화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박 부위원장은 이번 참관단이 북중 지도자의 회동에 따른 후속 조치를 실현하려고 온 것이라면서, 중국의 경제건설과 개혁개방 경험을 배우겠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참관단은 방중 기간 중국의 실리콘밸리인 중관촌과학원 문헌정보중심, 농업과학원 문헌정보중심을 둘러봐 북한이 IT 등 과학기술과 농업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을 원한다는 점을 내비쳤다.
한 소식통은 "쑹타오 부장이 북한 참관단을 만난 자리에서 신시대 북중관계를 강조했고 북한 참관단 또한 북중관계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향후 경협 등을 통해 북중관계를 키워 나갈 것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북한이 가장 필요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농업 분야에 노하우가 있어 농업 분야가 협력 1순위로 꼽히며 과학기술, 특히 IT도 북한이 원하는 분야"라고 밝히면서 "중국은 한국, 미국에 북한 시장을 내놓지 않겠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시 주석이 지난 16일 북한 참관단을 직접 만나 북한의 경제 개발과 민생 개선에 지지를 보내면서 양국 간 교류 강화를 강조한 것도 이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북한 참관단이 지난 16일 베이징시 기초시설투자 유한공사를 찾은 것은 향후 중국횡단철도(TCR) 등 인프라 재건 협력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중국횡단철도는 서울~평양~신의주를 거쳐 단둥, 베이징에 이르는 남북한과 중국을 잇는 철도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후 남북이 철도를 연결할 때 중국횡단철도 건설은 중국의 주요 현안 사업이 될 것으로 거론된다.
다른 소식통은 "중국에 대규모 북한 참관단이 왔다는 것은 향후 대북제재 완화 등을 대비해 대규모 경협을 위한 사전 준비를 하는 차원으로 볼 수도 있다"면서 "도로, 철도 등을 건설하는 부분에 대해 북중 간에 이해관계가 적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참관단은 이날 사흘간의 베이징 일정을 마치고 중국 지방의 개혁 개방 성과와 경제 발전을 참관하기 위해 베이징을 떠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