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일당 '대선 전 댓글 조작'·김경수 연루 여부 계속 수사 중
네이버 댓글 여론 조작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가 지난 1월 19일 첫 수사의뢰 이후 곧 4개월을 맞는다.
'초반 부실 수사' '언론 대응 미숙' 등 여러 비판을 받은 경찰은 뒤늦게나마 관련 증거를 하나둘 확보하며 사건 실체 규명에 힘을 쏟고 있다.
다만 '19대 대선 전 댓글 조작 여부'와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 연루 여부'라는 양대 의혹에 대해 경찰은 아직 속 시원한 답을 내지 못한 상황이다.
사건의 또 다른 축인 김경수 의원의 댓글 조작 연루 여부에 대한 실체 규명은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김 의원이 대선 전부터 약 1년간 드루킹에게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며 홍보를 요청했고, 드루킹이 '처리하겠다'고 답하는 등 두 사람 사이를 의심하게 할 정황이 있어 경찰도 관련 증거와 진술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핵심은 김 의원이 드루킹에게 매크로를 이용한 댓글 조작을 직접 지시하거나 최소한 이를 보고받아 알고 있었다는 증거 또는 진술이 나오느냐다.
그러나 앞서 김 의원의 통화내역·금융계좌 추적용 압수수색영장이 검찰 단계에서 기각돼 경찰은 기초 증거 수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의혹 당사자에 대해 충분한 증거를 확보한 뒤 출석요구하는 통상적 수사 절차와 달리 별다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채 참고인 신분으로 김 의원을 불러 '면죄부 소환' '패를 다 보여준 것 아니냐'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후 수사에서 김 의원이 거론된 의혹이 추가로 불거진 만큼 경찰이 그를 재소환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드루킹은 대선 후 김 의원에게 경공모 회원을 오사카 총영사로 인사 추천한 뒤 관련 편의를 얻고자 김 의원 보좌관에게 500만원을 건넨 것으로 드러났다. 경공모가 대선 전인 2016년 11월 김 의원 후원에 관여한 정황도 확인됐다.
경찰은 외부의 비판과 상관없이 김 의원 관련 의혹의 실체도 끝까지 파헤친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팀은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확보하면서 뭔가 나오면 나오는 대로 수사할 뿐"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