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전문가 참여 고증 거쳐
내년엔 동궁서 나온 투구 제작
김유신 장군 고택으로 알려진 '경주 재매정지'(사적 제246호) 유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비늘갑옷(찰갑)편이 고증을 거쳐 재현됐다.
경주시(시장 최양식)는 신라문화유산연구원과 함께 2013-2014년 재매정지 유적 발굴조사를 벌여 철판을 물고기 비늘 모양으로 일정하게 잘라 가죽끈으로 결합한 비늘갑옷을 녹슨 덩어리 형태로 발견했다.
갑옷 몸통 부분에 사용한 길이 5∼10㎝, 너비 2∼3㎝짜리 철판이 700여 장이나 나왔다. 투구, 목가리개 등 부속품은 발견되지 않았다. 갑옷 제작 시기는 7∼10세기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출토된 갑옷은 대부분 삼국시대 때 것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나온 청동 갑옷 조각을 제외하고 실물로 통일신라 시대 갑옷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시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갑옷을 보존 처리하고 사진·엑스레이·CT 촬영, 모식도 작업 등으로 구조를 정밀하게 확인했다. 또 신라 왕릉 십이지신상을 비롯한 각종 도상(圖像)과 중국, 일본 갑옷 자료를 비교 분석해 모형과 일러스트를 제작하고 고고학(갑옷), 불교미술, 복식, 보존처리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자문회의를 수차례 했다.
그 결과로 연구원은 수습한 몸통 부분을 중심으로 갑옷을 재현했다.
내년에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한 투구 등을 추가로 재현해 통일신라 시대 갑옷 일체를 완성할 예정이다. 시는 이 갑옷을 학술연구와 전시, 홍보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최양식 시장은 "세계적 문화유산의 보고로서 지역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의 재현과 복원을 통해 천년왕도 경주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특색 있는 관광콘텐츠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