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개국 행위미술 현황은

입력 2018-04-26 00:05:00

'저항과 도전' 연계 심포지엄 28일 대구미술관 강당서

윤진섭 평론가
윤진섭 평론가
노아 응 퐁차오
노아 응 퐁차오
세이지 시모다
세이지 시모다

대구미술관(관장 최승훈)은 28일(토) 오후 1시 미술관 강당에서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한중일 3개국의 행위미술을 살펴보는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전시 연계 프로그램인 '퍼포먼스, 소통과 예술형식의 변주'는 한중일 3국의 전문가가 모여 행위미술의 본질과 예술적 특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아시아 행위미술 현황을 공유하는 국제 심포지엄이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윤진섭(미술평론가), 이경모(제주예술공간 이아 센터장), 문재선(판아시아-퍼포먼스 아트 네트워크 아시아 예술감독), 노아 응 퐁차오(마카오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세이지 시모다(일본 국제 퍼포먼스 아트 페스티벌 대표) 등 5명의 행위미술 전문가가 발제자로 참여한다.

윤진섭 미술평론가는 '동시대 미술에 있어서 퍼포먼스의 위상과 역할'이란 주제로 퍼포먼스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노아 응 퐁차오 큐레이터는 '내부로의 응시- 중국 퍼포먼스 아트의 발전 역사'를 주제로 마카오 미술관의 중국 퍼포먼스 아트 자료 컬렉션에 대해 이야기하고, 세이지 시모다 대표는 'NIPAF(일본 국제 퍼포먼스 아트 페스티벌)를 중심으로 본 일본의 퍼포먼스 아트'에 대해 소개한다.

이경모 센터장은 다원주의 양상을 선도하며 대중화되고 있는 '1990년대 이후 한국 퍼포먼스 아트의 양상과 전개 방식'에 대해 발표한다. 문재선 예술감독은 '숨 쉬는 퍼포먼스에 대한 배반 행위-아시아 퍼포먼스 컬렉션에 대한 도전'을 주제로 현장성을 기반으로 하는 퍼포먼스 아트를 아카이빙 하는 것의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참가 신청은 대구시 통합예약시스템(http://yeyak.daegu.go.kr/yeyak)을 통해 사전신청(선착순 70명)할 수 있고, 현장접수(선착순 30명)도 가능하다.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전은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 아방가르드의 선두를 지켜왔던 행위미술의 역사를 정리하는 전시로 5월 13일(일)까지 진행된다. 053)803-7882.

최신 기사